금융 금융일반

중동에 휘청이는 물가·환율...손가락만 빠는 韓

김동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4.23 05:50

수정 2024.04.23 09:48

이스라엘 재보복 등 불확실성 상당해
연쇄보복 발생하면 유가 100달러 넘어
안전자산 선호에 달러화 강세 압력 강화
서방 제재 현실화되면 공급망도 축소돼
“올해 성장 전망 하방 위험 높아질 것”
지난 17일 이스라엘 남부, 가자지구 국경 인근에서 이스라엘 군인들이 가자지구를 향해 박격포를 발사하고 있다. 미국이 서안지구 이 군에 대한 제재를 결정한데 대해 이스라엘 정부는 21일 강력히 항의하고 나섰다. 뉴시스.
지난 17일 이스라엘 남부, 가자지구 국경 인근에서 이스라엘 군인들이 가자지구를 향해 박격포를 발사하고 있다. 미국이 서안지구 이 군에 대한 제재를 결정한데 대해 이스라엘 정부는 21일 강력히 항의하고 나섰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이스라엘-하마스 휴전 협상이 난항을 겪는 가운데 최근 이스라엘-이란 간 상호 보복전이 이어지면서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향후 국내 통화정책의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물가 불확실성과 위험자산 회피심리로 강달러가 지속돼 피벗(통화정책 전환)에 대한 확신을 얻기 어려워지고 있다.
서방의 이란 추가 제재 등에 따른 공급망 혼란과 무역 위축에 따른 경상·재정수지 가능성도 남아 있어 올해 신흥국들의 경제 성장이 예상보다 낮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본토 맞불 공격 놓은 이스라엘·이란...“불확실성 여전해”
이스라엘이 자체 개발한 공대지 초음속 미사일 '램페이지'(Rampage). 뉴스1.
이스라엘이 자체 개발한 공대지 초음속 미사일 '램페이지'(Rampage). 뉴스1.
22일 국제금융센터는 '최근 중동 사태의 신흥경제 영향 점검' 보고서를 통해 중동 사태가 아직 신흥경제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사태가 심화할 경우 러·우 전쟁 등 다른 지정학 리스크와 맞물려 올해 경제 성장 전망의 하방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가 지난해 10월 7일 이스라엘을 기습공격하면서 촉발된 가자지구 전쟁이 6개월 넘게 공방전을 지속하는 가운데 이스라일은 지난 1일 하마스의 배후 세력으로 지목되는 이란의 시리아 주재 영사관을 공격했다. 이후 이란은 지난 13일 밤부터 이스라엘 본토에 300대가 넘는 드론, 미사일 등을 발사하는 등 보복 공습을 감행했다.

최근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확전 자제 요구가 잇따르면서 확전 가능성은 낮아졌으나 이스라엘 정부 입장에서는 연정을 맺고 있는 우익 세력이 이란에 대한 보복을 원하고 있어 이를 외면하기 힘든 상황이다. 지난 17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동맹국들의 긴장 유발 자제 충고에도 불구하고 이란에 대한 대응을 주체적으로 결정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이에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휴전 및 종전에 대한 기대가 요원해진 가운데 이스라엘이 보복에 나설 경우에는 이미 교전 중인 하마스와 헤즈볼라, 예멘 후티반군 외에 이란까지 가세하면서 다면전을 치러야 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인플레 압력·위험자산 회피심리 강화될 것
국제금융센터 제공.
국제금융센터 제공.
우선 보고서는 중동 사태가 악화될 경우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대될 수 있다고 봤다. 올해 들어 국제유가가 16% 상승한 가운데 신흥국은 소비자물가에서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10%(중간값 기준)로 미국(6.9%) 등 선진국보다 비중이 높다. 이에 물가 충격에 취약해 통화완화 정책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유가 상승 압력이 큰 부담이다. 국제유가(WTI유)는 배럴당 82.29달러로 사태 직후에 비해 소폭 하락하였으나, 시장에서는 이스라엘-이란 연쇄 보복 시 100달러를 넘어설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란과 이스라엘의 직접적인 전쟁이 수개월 동안 이어지며 이란산 원유 공급이 제약(생산량 일일100~150만배럴 감소)되는 시나리오 하에서 WTI유 가격이 123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글로벌 컨테이너 운임을 대표하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지난달 29일 1730.98에서 지난 12일 1757.04로 1.5% 상승하는 등 늘어나는 운송비도 부담이다. 인플레이션 압력 재개는 국내 통화정책 완화에 걸림돌로 작용한다.

위험자산 회피심리도 강화될 수 있다. 달러인덱스는 지난 12일 106.26까지 급등하는 등 이달 들어 높은 강세를 보였다. 달러화 전망에 대한 시장 컨센서스는 2·4분기 103.30, 3·4분기 101.80, 4·4분기 101.60으로 점진적 하락을 예상하고 있지만, 이는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이전인 2021년 3월부터 2022년 3월까지의 93.66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이는 올해 지속적으로 평가절하되는 원화를 고려할 때 향후 원·달러 환율의 상방 압력이 더 커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82.2원에 거래를 마치며 지난해 종가(1288원)보다 7.3% 상승했다. 이는 1990년 3월 시장평균환율제(1997년 12월 자유변동환율제)가 도입된 이후로 같은 기간 최대 상승폭이다.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과 2009년에는 같은 기간 6.9%, 5.8%씩 상승했다.

■공급망 혼란 및 경상·재정수지도 악화
국제금융센터 제공.
국제금융센터 제공.
글로벌 해운산업을 통한 운송이 세계무역의 80~85%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중동 사태로 공급망 혼란이 가중될 가능성도 있다. 홍해발 물류대란이 수개월째 이어지는 상황에서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 서방의 이란 추가 제재 등이 현실화될 경우 물류적체 및 수급 불안이 심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홍해는 전 세계 해상 컨테이너 물동량의 약 30%, 교역량의 12% 비중을 차지한다. 호르무즈 해협은 원유 해상 교역량의 약 30%가 통과하고, 그중 70%가 아시아 시장으로 향하는 세계무역의 핵심 요충지다. 홍해-수에즈 운하 대신 남아프리카 희망봉으로 우회하는 데 드는 비용은 선박당 3000만달러에 육박하며 12~13일이 더 소요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이 이란에 대한 제재를 강화할 경우 이란의 원유 생산량이 일일 50만배럴 정도 감소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보고서는 이같이 공급망 차질에 따른 무역 위축과 수입물가 상승, 통화 가치 절하 등으로 경상·재정수지가 악화할 수 있다고 봤다. 특히 원자재 수입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을 중심으로 경상수지가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태국(6.3%), 베트남(5.9%), 튀르키예(5.5%), 인도(5.3%) 등 아시아, 동유럽 신흥국은 대체로 GDP 대비 에너지 수입 비중이 크다. 대외자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국가를 중심으로 고금리·고환율 상황이 지속되면서 이자비용 상승 등 부채 상환 부담이 커질 우려도 나온다.


보고서를 작성한 남경옥 국금센터 부전문위원은 "신흥국이 글로벌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되나, 최근 악화된 중동의 상황이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지정학적 갈등이 확산될 경우 성장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며 "국제사회 이목이 중동에 집중되는 동안 러시아가 이를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에서 주도권을 가져올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점도 지정학적 불안 잠재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