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장기간 시위에 피로감” vs “이동권 호소 위해 불가피해"[이슈스테핑]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12.27 18:00

수정 2022.12.27 19:59

전장연 출근길 시위 재개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 대표가 지난 20일 오전 서울 광화문역에서 지하철에 탑승해 장애인 권리 예산 보장을 촉구하는 출근길 선전전을 하고 있다. 2022.12.20. myjs@newsis.com /사진=뉴시스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 대표가 지난 20일 오전 서울 광화문역에서 지하철에 탑승해 장애인 권리 예산 보장을 촉구하는 출근길 선전전을 하고 있다. 2022.12.20. myjs@newsis.com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잠시 멈췄던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의 '출근길 지하철 시위'가 새해 첫 출근날인 내년 1월 2일 다시 시작된다. 전장연은 지난 20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휴전' 제안을 받아들여 시위를 중단한 바 있다. 그렇지만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서 전장연은 시위 재개를 예고했다.

전장연은 당초 장애인권리예산으로 올해 예산 대비 1조3044억원 증액을 요구해왔다.
하지만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장애인권리예산이 106억원(0.8%)에 그쳤다.

'27일 출근길 지하철 시위'가 다시 시작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시민들은 대부분 '예고된 불편함'이 걱정된다는 목소리를 냈다. 지난 1년여 동안 이어진 시위에 지친다는 반응이 많았다.

일부 시민은 여전히 전장연의 시위를 이해한다는 입장을 표현했다. 다만 시위 방식은 비(非)장애인의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이 일반적이다. 전장연은 시민 불편을 알고 있지만 '출근길 지하철 시위'를 할 수밖에 없는 절박함을 이해해 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전장연 지하철 탑승 시위 중 경찰과 충돌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 회원들이 2일 오전 서울 4호선 삼각지역 플랫폼에서 지하철 탑승 시위 중 경찰·서울교통공사 지하철보안관 등과 충돌하고 있다. 2022.12.2 dwise@yna.co.kr (끝)
전장연 지하철 탑승 시위 중 경찰과 충돌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 회원들이 2일 오전 서울 4호선 삼각지역 플랫폼에서 지하철 탑승 시위 중 경찰·서울교통공사 지하철보안관 등과 충돌하고 있다. 2022.12.2 dwise@yna.co.kr (끝)
■장기간 시위에 '피로감' 느껴
이날 기자가 만난 시민들은 1년 이상 지속된 전장연의 '출근길 지하철 시위'에 피로감을 느끼고 있었다.

전장연은 지난해 12월 3일 세계 장애인의 날을 맞아 출퇴근 지하철 시위를 시작했다. 오전 출근시간에 지하철을 타고 당시 기획재정부 장관이었던 홍남기 전 경제부총리의 집(마포구 공덕동)을 찾아갔다. 그렇게 시작된 '출근길 지하철 시위'는 1년이 넘게 이어졌다.

서울 광진구에 거주하는 박모씨(40)는 "출근시간에 5호선이나 2호선을 이용하는데 3~4번 전장연 시위 때문에 지각한적이 있다. 지인들도 대부분 지각 등의 피해를 경험했다"며 "내년에도 시위가 이어진다고 하니 언제까지 참아야 하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불만을 내비쳤다.

경기도에서 서울로 출근을 하는 이모씨(41)는 "많은 사람이 알 수 있도록 출근시간에 시위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본인들의 이익을 위해서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며 "출근시간을 골라서 하는 시위를 그만 좀 했으면 좋겠다"고 지적했다.

전장연이 시위가 비장애인을 볼모로 잡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불편한 감정을 드러내는 시민들도 적지 않았다.

지하철 4호선으로 출퇴근하는 회사원 김모(28)씨는 "직접적 이해당사자가 아닌데, 왜 우리가 출근시간에 피해를 봐야 하는지 모르겠다"며 "예산 편성 권한을 가진 국회의원들은 시위로 파생된 불편함을 느끼지 못한다. 지하철을 타는 일반 시민들은 예산을 편성할 권리가 없다"고 강조했다.

김씨는 이태원 참사 이후 전장연의 시위에 공포감을 느낀다고도 했다.

그는 "지하철이 만원인 상태에서 전장연 시위가 있으면 더 답답해진다"면서 "가뜩이나 출퇴근 시간 지하철역이 혼잡한데, 이러다가 깔려 죽는 것이 아닐까 하는 공포감도 밀려온다"고 안전 사고를 우려했다.

전장연 시위에 대해 반감이 커진 것은 실질적인 피해 사례가 이어진 영향도 커 보였다. 실제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전장연 시위 탓에 '취업 면접에 못 갔다', '중요한 시험에 지각했다' 등 생업을 위협받고 있다는 호소가 잇따랐다.

서울 성동구에 거주하는 박모씨(37)는 "개인적으로는 몇 차례 지각한 피해가 전부이지만 면접이나 시험과 같이 중요한 일을 피해 봤다는 사례를 여러 번 들어봤다"며 "이제 (시민들은 장애인의 상황을) 이해했으니 호소하는 대상을 국회의원으로 바꿔줬으면 한다. 더 이상 피해 보고 싶지 않다"고 호소했다.


전장연 '장애인 권리 보장하라'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 회원들이 국제 장애인의 날을 하루 앞둔 2일 오전 서울 4호선 삼각지역에서 지하철 탑승 시위 시작 전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2.12.2 dwise@yna.co.kr (끝)
전장연 '장애인 권리 보장하라'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 회원들이 국제 장애인의 날을 하루 앞둔 2일 오전 서울 4호선 삼각지역에서 지하철 탑승 시위 시작 전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2.12.2 dwise@yna.co.kr (끝)
■"관심 필요하지만, 방식 바꿨으면"
소수이지만 장애인의 입장을 여전히 이해한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하지만 시위 방식은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지하철 5호선을 타고 출퇴근을 하는 회사원 김모(27)씨는 "시위 하면서 전장연이 주장하는 내용은 온당하다고 생각하지만 주장하는 방식이 너무 과격하다 보니 시민들에게 피해를 끼치고 있다"면서 "전장연이 바쁜 출퇴근 시간에 시민들이 입는 물질적·정신적 피해를 생각하는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전장연은 출근길 지하철 시위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는 입장이다.

김필순 전장연 기획실장은 "20여년 전부터 전장연은 장애인 이동권을 보장해달라고 소리쳐 왔지만 사회가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은 지하철 탑승시위 때문"이라며 "물론 시민들에게 불편함을 준다는 것 알고 있다. 하지만 지하철 시위를 할 수밖에 없을 정도로 절박하다는 것을 먼저 알아줬으면 좋겠다"고 시민들의 이해를 당부했다.

그는 "(정부) 예산안에서 장애인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국회의원들을 만나고,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국회 앞에서 650여일간 농성을 벌이고 있다. 그렇지만 사회에 알려진 것은 지하철 시위뿐 아닌가"라고 덧붙였다.

김 실장은 "20년 동안 장애인 이동권을 보장해 달라고 소리쳐 왔지만 2023년까지도 장애인들은 단순히 지하철을 타는 데도 불편함을 겪고 있다'며 "이를 당연하게 여기는 생각은, 장애인이 비장애인들보다 힘들게 살아야 한다는 편견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우리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같이 살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교통공사는 전장연의 시위 재개가 난감하다는 입장이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공사도 적자기업이지만 한정된 예산을 가지고 장애인들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다만 혼잡한 출퇴근 시간이니만큼 역무원의 지시에 따른다면 보다 안전한 지하철 이용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kyu0705@fnnews.com 김동규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