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광화문 직장인 근무시간 40분 단축… 노래방 대신 헬스장 갔다

이보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9.11 15:08

수정 2019.09.11 16:34

52시간제 시행 후 근무시장 조사
광화문 직장인 근무시간 39.2분↓
은행·금융업 많은 여의도 9.9분↓
IT 대기업 분포 판교도 9.7분↓
유흥업종·저녁급식 매출 감소
헬스·문화 등 스포츠레저 이용 늘어
광화문 직장인 근무시간 40분 단축… 노래방 대신 헬스장 갔다
광화문 소재 기업에서 일하는 직장인의 하루 평균 근무시간이 주 52시간제 시행 후 39.2분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직장인 밀집 지역에서 주 52시간제 도입 이후 소비가 늘어난 업종은 헬스클럽, 테니스 등 스포츠레저였다. 반면 노래방 등 유흥업종과 저녁급식 등은 하락곡선을 그렸다.

■4개 지역 근무시간 평균 13.5% ↓

고용노동부는 11일 KT와 비씨카드에 의뢰해 주 52시간제 도입 이후 직장인 근무시간, 출퇴근 시간, 여가활동 업종 매출액 변화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지난해 7월 주 52시간제는 300인 이상 기업과 공공기관부터 적용됐다.

고용부는 주 52시간제 시행 전후인 올해 3~5월과 지난해 3~5월을 비교했다.
조사대상 직장인은 오전 7시~오후 6시 한 달에 10일 이상 동일 기지국에서 4시간 이상 규칙적으로 연결된 휴대폰 이용자를 의미한다.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4개지역(광화문·여의도·판교·가산디지털단지) 직장인 근무시간은 4개 지역 평균 13.5분 감소했다.

근무시간이 가장 크게 줄어든 지역은 광화문이었다. 광화문 직장인 근무시간은 605분에서 565.8분으로 39.2분 줄었다. 주 52시간제를 시행하고 있는 대기업이 많이 모여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은행 등 금융업종 대기업이 많이 있는 여의도의 직장인 근무시간은 9.9분(626.3분→616.4분) 감소했다. 조사 시점 당시 금융은 주 52시간제를 도입하지 않아 감소 폭이 광화문보다 작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업종은 근로시간 특례제외업종으로 분류돼 근로자 300인 이상이라도 다른 곳보다 1년 늦은 지난 7월부터 주 52시간제가 적용됐다.

정보기술 업종 대기업이 주로 분포한 판교도 9.7분(550.3분→540.6분) 줄었다.

반면 가산디지털단지는 근무시간이 0.6분 되레 늘었다. 주 52시간제를 시행하지 않은 중소기업 근로자들이 많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출퇴근 시간도 변화가 있었다. 광화문 직장인은 오전 9시 전 출근과 오후 6시 이후 퇴근이 각각 4.0%포인트, 2.4%포인트 감소했다.

금융업계 특성상 이른 출근이 많은 여의도 직장인은 8시대 출근이 가장 많이 차지했다. 오전 8시대 이전 조기출근은 2.0%포인트 감소했다. 특히 오후 5시대에 퇴근하는 여의도 직장인은 3.8%포인트 늘었다. 판교·가산디지털단지 일대 직장인 역시 출근과 퇴근이 모두 당겨지는 경향을 보였다.

■헬스클럽 학원 뜨고 노래방 지고

근무시간과 퇴근시간에 변화를 보이면서 4개 지역의 여가·문화·자기계발 업종의 매출액에도 영향을 끼쳤다

2017년 8월~2018년 5월의 서울시 비씨카드 이용액과 300인 이상 기업의 주 52시간제 시행 후인 2018년 8월~2019년 5월 이용액을 분석한 결과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여가·문화·자기계발 관련 업종의 이용액이 시행 이전보다 평균 18.3% 증가했다.

볼링장, 헬스클럽, 골프 등 스포츠레저 업종의 소비는 상승곡선을 그렸다. 학원에 다니는 직장인들도 늘었다.

반면 사무실 인근의 일반 주점이나 노래방 등 유흥업종의 소비는 하락 추세였다. 유흥업종 이용액은 광화문이 9.3% 감소했고 판교도 18.4% 줄었다. 여의도는 3% 증가에 그쳤다.

기업에서 시행하는 저녁 급식(위탁급식) 매출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여의도 지역이 64.7%나 줄었고 광화문과 판교는 각각 11%, 10.5% 감소했다. 반면 주 52시간제 시행을 하지 않은 중소기업이 많은 가산디지털단지는 30.7% 늘었다.


권기섭 고용부 근로감독정책단장은 "통신정보와 신용카드 이용액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주 52시간제를 시행한 이후 직장인의 근무시간 감소 경향과 퇴근시간이 빨라지는 행동변화가 유의미하게 관찰됐다"며 "근로시간 감소로 인한 여유시간을 여가와 자기계발 등을 위해 사용하는 등 생활유형 변화가 소비행태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