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북한

‘남조선’ 대신 ‘대한민국’...갑자기 표현 바꾼 北김여정, 속내는?

박상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7.12 07:00

수정 2023.07.12 07:00

김정은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조선중앙TV 캡처) 2023.7.11. /사진=뉴시스
김정은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조선중앙TV 캡처) 2023.7.11.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10일과 11일 연이틀 담화를 통해 미국과 한국을 비난한 가운데, 김여정이 담화에서 지금까지 사용해오던 ‘남조선’이란 표현 대신 ‘대한민국’이라는 표현을 이례적으로 사용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남 비난 메시지 차원 '대한민국' 언급은 최초

김여정은 10∼11일 발표한 두 건의 담화에서 미 공군의 정찰 활동을 비난하는 한편 정당성을 주장한 남측을 향해서도 날을 세웠다. 주목 할만한 점은 김여정이 남측을 언급할 때 지금까지 사용해오던 ‘남조선’이란 표현 대신 ‘대한민국’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이다.

김여정은 지난 10일 담화에서는 “‘《대한민국》의 합동참모본부”, “《대한민국》족속” 등의 표현을, 11일 새벽 담화에서는 “《대한민국》의 군부”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북한 매체는 강조의 의미를 담는 용도인 ‘겹화살괄호’(《》)를 사용해 해당 표현이 특정한 의도를 담고 있음을 시사했다.

통일부에 따르면 그동안 북한은 남북정상회담 등 회담 관련 사항, 남북합의문, 국내외 언론이나 제3자 발언 인용 등 극히 예외적인 경우에만 공식 문건과 관영매체에서 ‘대한민국’ 또는 ‘한국’이란 표현을 사용했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이번 김여정의 두 차례 담화와 같이 대남 비난 메시지 차원에서 '대한민국'을 언급한 것은 최초”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남측을 보통 ‘남조선’이라고 표현해왔다. 남측을 비난하는 경우에는 ‘남조선 괴뢰’ 등으로 지칭해왔다.

이는 우리가 북한을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잠정적인 특수관계 대상’으로 규정하듯 북한도 남측을 ‘같은 민족’ 또는 ‘통일의 대상’으로 보는 관점이 반영된 것이다.

적대적 공존 '별개 국가'로 보겠다는 입장 공식화한 듯

그렇다면 북한이 ‘남조선’이라는 표현 대신 ‘대한민국’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속내는 무엇일까.

일각에서는 해당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북한이 이제 남측을 적대적으로 공존하는 ‘별개의 국가’로 보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한반도 정세 악화와 함께 대남·대미 협상 전망이 어두워지면서 북한의 정책이 협력을 통한 관계 변화의 모색에서 ‘적대적 공존’에 무게를 둔 ‘두 개의 한국’(Two-Korea) 정책으로 변화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북한의 이러한 움직임은 이미 2021년 제8차 당대회 당시에도 포착된 바 있다.

북한은 당시 노동당 규약을 개정하며 “전국적 범위에서 민족해방민주주의 혁명과업 수행” 문구를 삭제하고 “공화국 북반부에서 부강하고 문명한 사회주의 사회 건설”, “전국적 범위에서 사회의 자주적이며 민주적인 발전을 실현” 등의 문구를 추가했다.
김정은 정권이 김일성 정권 때부터 이어져 온 북한 주도의 통일전략을 포기하고 ‘국가 대 국가’로서 남북한 공존에 무게를 두는 정권으로 전환을 선언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아울러 8차 당대회에서는 비서국의 중요한 자리를 차지해왔던 대남담당 비서 직책이 사라졌고, 남북대화를 비롯해 중요한 남북관계 현장의 핵심이었던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도 모습을 감췄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총장은 연합뉴스에 “김여정의 거듭된 대한민국 언급은 최근 북한이 보이는 2국가 체제 정책의 차원”이라며 “이미 이번 사안을 두고 북미 간 문제라고 규정한 것처럼 앞으로 한반도 문제에 대해 대한민국과 협의하지 않겠다는, 상대하지 않겠다는 의사가 묻어난다”고 분석했다.

sanghoon3197@fnnews.com 박상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