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최근 4년간 화재취약지구 내 화재 167차례 [개발의 그림자 강남 판자촌]

박지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2.12 18:09

수정 2023.02.13 10:44

(6)화재 줄일 수 없나
불 나면 삽시간에 번지는 구조
소방서·지자체 빠른 대처 어려워
예방시설·가연물 적체 해소 필요
[서울=뉴시스] 백동현 기자 = 20일 오전 서울 강남구 구룡마을에서 큰 불이 나 진화 작업이 한창이다. 2023.01.20. livertrent@newsis.com /사진=뉴시스
[서울=뉴시스] 백동현 기자 = 20일 오전 서울 강남구 구룡마을에서 큰 불이 나 진화 작업이 한창이다. 2023.01.20. livertrent@newsis.com /사진=뉴시스

지난달 20일 구룡마을 화재로 주택 60채·땅 2700㎡가 소실되는 등 큰 피해가 난 가운데 구룡마을과 같은 화재 취약 지구에서의 화재가 매년 잇따라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감독을 맡는 지자체 역시 정기 화재 점검을 하고는 있지만 이들 지역이 불이 나면 삽시간에 번지는 취약한 구조인 탓에 즉각 대응이 어려운 상황이다.

12일 소방청이 김웅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화재예방강화지구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올 1월까지 최근 4년간 화재예방강화지구 내에서는 총 167차례 화재가 발생했다. 지난달 20일 발생한 구룡마을 화재 영향으로 올해 들어 화재예방강화지구에서는 화재로 한 달만에 약 11억원에 가까운 재산 피해가 났다.
지난해 34건의 화재로 15억8000만원 상당의 피해가 난 것과 대비되는 수치다.

화재예방강화지구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내 화재 예방을 위해 소방당국과 시·도 지자체장이 화재안전조사 등을 통해 관리하는 지역이다. 올 1월 초 기준 전국 155곳이 지정돼 있으며, 구룡마을을 비롯한 목조건물 밀집지역(16곳)·시장지역(99곳)·공장(9곳) 등이 속해있다. 화재예방강화지구는 지난해 12월 화재예방법 시행 전까지 '화재경계지구'로 불리기도 했다.

화재 취약 지역을 소방당국과 지자체가 따로 관리하고 있지만 갑작스레 닥치는 화마를 피하기에는 여전히 쉽지 않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밀집도가 높고, 소방통로확보가 어려운데다 구조상 화재에 취약해 한 번 큰 불이 날 경우 삽시간에 번지기 때문이다.

구룡마을 역시 2002년 화재예방강화지구로 지정돼 지자체의 화재 예방 관리를 받아왔지만 소방당국의 대처가 쉽지 않았다. 구룡마을의 경우 집 대부분이 불에 쉽게 타는 합판과 비닐 등 가연성 소재로 지어진 데다 낡은 판잣집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구조다.

강남구청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발생한 화재를 비롯해 2009년 이후 구룡마을에서는 최소 9차례 화재가 났다. 지난해 3월에는 이재민 9명이 발생했고, 2017년 3월 전기적 요인으로 난 화재로도 주택 29채가 불에 탔다. 2014년의 경우 구룡마을 내 고물상 화재로 63세대가 소실, 70대 주민 1명이 숨지기도 했다.

지자체 역시 난감한 건 마찬가지다. 규정에 따라 사전 점검을 벌이고 있지만 막상 불이 났을 때에는 손쓸 새 없이 화재가 번지기 때문이다. 강남구청의 경우 개포소방서, 서울주택도시공사(SH)와 합동으로 유관기관 합동안전점검을 매주 1회씩 진행해왔지만 이번 화마를 피할 순 없었다.
강남구청 관계자는 "화재 예방 교육이나 점검을 수시로 하고 있지만 갑작스러운 화재에 대응하기가 어려운 게 사실"이라며 "유관기관 점검을 주1회에서 주2회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전문가가들은 관련 예산 확충을 통한 예방 시설 확보, 가연물 적체 해소 등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화재예방강화지구 지정 자체도 필요하지만 거주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안전 교육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화재 취약 지구 내에 불이 나도 즉시 소화가 가능하도록 가연물 양을 줄여나가도록 하는 지원도 병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