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바이든-푸틴 첫 통화…'핵군축 합의' 성과 外 기싸움 팽팽

홍예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1.27 14:08

수정 2021.01.27 14:08

미-러, 핵통제협정 '뉴스타트' 5년 연장 공식 합의
지난 2011년 3월 10일 당시 미국 부통령이던 조 바이든 제46대 미국 대통령 당선인(왼쪽)과 러시아 총리이던 블라디미르 푸틴 현 러시아 대통령이 만나 인사하고 있다.AP뉴시스
지난 2011년 3월 10일 당시 미국 부통령이던 조 바이든 제46대 미국 대통령 당선인(왼쪽)과 러시아 총리이던 블라디미르 푸틴 현 러시아 대통령이 만나 인사하고 있다.AP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가 취임 전부터 기싸움을 벌인 러시아와 첫 공식 대화에서 성과를 올리며 일단 산뜻한 출발을 했다.

미국과 러시아는 26일(현지시간) 양국 간 유일하게 남은 핵전력 조약인 신전략무기감축협정(뉴스타트·New START) 5년 연장에 합의하고 공식 절차에 착수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 미 정권 교체 이후 첫 정상 통화를 갖고 뉴스타트 조약 연장에 합의했다.

뉴스타트는 지난 1991년 미국과 옛 소련이 맺은 전략무기감축협정(스타트·START)의 후신으로, 2010년 버락 오바마 당시 대통령과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이 서명했다.
양국의 핵탄두 배치를 1550개 수준으로 제한하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오는 2월 5일 만료를 앞뒀으며, 이 조약이 종료되면 양국 간 핵 군비 경쟁 제동 장치가 사라져 우려를 낳았다.

지금까지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협정에 중국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중국이 이를 거부해 연장 여부가 불투명했었다.

조약 비준 권한이 있는 러시아 의회는 뉴스타트 연장 문제를 신속 처리하고 주 내 필요한 조치를 마무리할 방침이다.

새 행정부 초기 경쟁국 간 좋은 성과지만, 이외에 미국과 러시아 간에는 지뢰밭이 산재해있다.

양국 정상은 이날 통화에서 '소통'과 '정상화'를 강조하면서도 양국 간의 관계가 순탄치 않을 것임을 암시했다.

미 언론들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뉴스타트 연장 합의 외 △우크라이나 주권에 대한 미국의 확고한 지지를 재확인하고 △미 연방기관 해킹 러시아 야권 지도자 알렉세이 나발니 독살 시도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의 살해 사주 △지난해 대선 개입 등 러시아가 배후로 지목받는 각종 의혹에 관한 우려를 제기했다. 그간 트럼프 전 대통령이 소극적으로 대응했던 사안들이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이 우리나 동맹에 해를 끼치는 러시아의 행동에 대응해 국익을 지키기 위해 단호히 행동할 것을 분명히 했다"고 밝혔다.

AP통신은 바이든 대통령이 이번 통화에서 러시아가 아무런 응징도 받지 않은 채 행동하진 못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기 위해 추가 제재를 포함해 조처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미 당국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같은 보도가 사실이라면, 바이든 대통령은 첫 통화 때부터 푸틴 대통령에게 단순한 신경전을 벌인 것을 넘어 강한 경고의 목소리를 전달한 것이 된다.

미 언론들은 바이든 대통령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에게 자주 호의적 발언을 했던 것과는 크게 달랐지만 "외교적 공간을 보존하기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 통화하기 위한 사전 준비 단계도 트럼프 전 대통령과는 확연히 달렸다. CNN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의 통화 전 행정부의 고위급으로부터 대(對)러시아 정책에 대한 브리핑을 받았다.

바이든 대통령은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유럽의 동맹국 정상들과 먼저 전화 회담을 가졌다. 통화에서 러시아, 중국에 대한 외교정책도 논의했다고 백악관이 공개하기도 했다.

푸틴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 취임전 주요국 정상들의 당선 축하 대열에 동참하지 않았다. 바이든 행정부 외교·안보라인에는 양국 간의 관계가 '제2의 냉전'으로 불릴 정도로 악화한 오바마 행정부에서 일한 인사들이 대거 포진돼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푸틴 대통령 통화 전에는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 통화했다. 대서양 동맹 강화를 통해 국제사회에서 미국의 주도권 회복에 속도를 내겠다는 것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관세를 무기로 유럽 국가와 무역 마찰을 빚고 나토 회원국의 방위비 증액을 요구해 관계가 악화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