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저물가·저성장에 압박 커진 한은… 기준금리 10월께 내릴 듯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8.28 17:32

수정 2019.08.28 17:58

30일 금통위 '소수의견'에 주목..기대인플레이션율 2.0%
물가인식, 2013년이래 최저
무역분쟁 등 대외 불확실성 고조..내년 1분기 추가인하 가능성
저물가·저성장에 압박 커진 한은… 기준금리 10월께 내릴 듯
한국은행이 30일 금리 결정을 앞두고 금리인하 압력을 갈수록 강하게 받고 있다. 소비자들의 물가인식이나 기대인플레이션율이 역대 최저수준으로 떨어져 당분간 저물가에서 벗어나기는 쉽지 않다. 여기에 한·일 무역갈등과 미·중 무역분쟁 불확실성도 갈수록 확대되고 있어 금리인하 압력을 높이고 있다.

■안팎으로 높아진 금리인하 압력

28일 한은에 따르면 앞으로 1년간 소비자들의 물가전망을 보여주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8월 기준 2.0%를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02년 2월 통계 작성 이래 최저다. 아울러 지난 1년 동안 소비자물가가 얼마나 오른 것 같은지를 나타내는 '물가인식'은 2.1%로 통계 편제를 시작한 2013년 1월 이후 가장 낮았다.


한은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실제로 경기가 좋지 않다고 느끼고 있고, 최근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0%대를 유지하고 있는 점들이 지수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소비자들 사이에 경기부진과 저물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 한은에는 금리인하 압력으로 작용하게 될 전망이다. 중앙은행의 설립 목적 중 하나가 '물가안정'이어서다.

소비자들 사이에서 경기부진과 저물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게 되면 가계는 소비를 줄이는 등의 방식으로 대응하게 되다. 생산된 상품이 팔리지 않게 되면 생산 감소와 투자 축소로 연결되는 등 실물경제에도 하방 압력이 된다. 이를 방치할 경우 저물가 및 저성장이 고착화될 수 있다는 의미다.

대외 불확실성 또한 해소되지 않고 확대 중이다. 먼저 지난달 시작된 일본의 반도체 소재 관련 수출규제 조치는 현재까지 해소되지 않고 오히려 양국 관계가 악화되고 있다. 이날 일본은 우리나라를 화이트리스트(수출심사 우대국가)에서 배제하는 조치를 강행하면서 사태 장기화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글로벌 경제 전체에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는 미·중 무역분쟁도 완화와 격화를 반복 중이다. 실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과 중국의 반응에 따라 금융·외환시장은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고 있다. 확대된 불확실성은 기업 및 금융 활동을 위축시켜 경기에 하방 압력을 준다. 특히 소규모 개방경제인 우리나라에 영향이 상대적으로 클 수밖에 없다.

윤여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대외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만큼 국내 정책대응의 여지는 더욱 커졌다"며 "무역분쟁 격화와 지소미아 종료 등 일본과 마찰도 더욱 심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통화정책 완화의 목소리는 높다"고 전했다.

■내년 1·4분기까지 2차례 인하 전망

내·외부에서 금리인하 압력이 큰 것은 사실이지만 한은의 정책 여력은 충분하지 않다.

시장에서는 한은이 오는 10월 한 차례 금리인하를 단행하고 내년 1·4분기에 추가 인하의 가능성을 높게 본다. 이는 한은이 최저로 금리를 내릴 수 있는 '실효 하한'을 시장에서 1.00%로 시장에서 추정하기 때문이다. 현 기준금리가 1.50%이기 때문에 0.25%포인트씩 2회 인하하게 되면 실효 하한에 도달한다. 다만 한은의 금리인하 시기와 속도는 미 연준의 움직임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판단된다. 한·미 금리 역전폭을 고려한 움직임이다.

미 연준과 한은의 금리 역전폭은 0.75%포인트(미국이 높음)다. 최근 원화가 약세를 보이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추가 역전폭 확대는 가파른 외국인 자금 이탈을 부를 수 있다. 외국인 자금은 미국 대비 낮은 금리에도 원화강세로 얻을 수 있는 환차익을 기대해 국내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한은은 금리인하 과정에서 연준과의 금리역전 폭이 현 수준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

신동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경기가 나쁘고 물가도 낮은 상황이라 (한은은) 완화적 정책을 쓸 수밖에 없다.
여력이 크지는 않지만 대부분이 오는 4·4분기 한번, 내년 1·4분기까지 두번 정도 금리인하가 가능하다고 본다"며 "당장 8월에는 (인하) 소수의견은 나오겠지만 금리인하가 어려워 보이고 빠르면 10월 정도 인하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