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가계부채 상승폭 세계 3위… 부실화 압박 가중

김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6.17 17:28

수정 2018.06.17 17:28

국내 가계부채 상승폭 중국·홍콩 이어 세계 3위
변동금리 대출 비중 높아 연체 위험 부담도 커져
한국의 가계부채 상승폭이 세계 3위를 기록하는 등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가계부채 부실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7일 국제결제은행(BIS)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한국 가계부채는 국내총생산(GDP)의 94.8%로 세계 주요 43개국 중 7번째로 높았다. 지난 1년간 2.2%포인트 상승, 중국(4%포인트)과 홍콩(3%포인트)에 이어 상승폭도 세계 3위를 기록해 같은 기간 다른 국가의 경제규모와 견줘봤을 때 빠른 증가속도를 보였다.

KB국민·신한·KEB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5월 말 전세자금대출 총 잔액은 약 53조688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3.43%(16조3000억원) 급증했다. 주요 시중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2016년 8월 3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지난해 8월 40조원, 올해 3월 50조원을 넘어섰다. 이 속도라면 연내 60조원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용대출과 마이너스통장대출이 포함된 기타대출도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 은행권 기타대출은 204조6000억원으로 전달보다 2조5000억원 늘었다. 5대 시중은행의 개인신용대출 규모는 지난달 100조원을 돌파했다. 이 같은 전세자금대출과 신용대출 등 상대적으로 취약한 대출은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높아 대출금리가 오르면 '가계대출 부실화' 위험에 그대로 노출되는 구조다. 특히 금리 인상으로 취약계층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가중되기 때문이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은행권 보다는 비은행권 대출, 신용대출 같은 비주택담보대출이 늘고 있는 데다 신용대출은 고정금리가 거의 없다"며 "빠르게 늘고 있는 대출들이 다른 대출에 비해서 시중금리에 취약한 구조"라고 설명했다. 상대적으로 대출이 수월한 곳으로 몰린 상황에서 금리가 상승하면 즉각 취약계층의 부담으로 이어지고, 부실화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이다. 주택담보대출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가 나타났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에 따라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15일 금융시장 전문가들과 조찬 간담회에서 개인사업자·신용·전세 대출 등을 금융시장 위험요인으로 꼽으며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하지만 앞으로 대출금리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조 연구위원은 "대출규제가 계속 강화되고 있어 수익을 남기려는 금융기관들은 많이 빌려줘서 많이 벌기보다는 조금 빌려줘서 많이 벌려고 한다"며 "이런 상황에선 결국 높아진 기준 때문에 안정적인 대출을 받지 못하는 이들이 신용대출 등으로 넘어갈 것"이라고 지적했다.

gloriakim@fnnews.com 김문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