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특별기고

[특별기고] 통일시대의 4차산업혁명 전략

전용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6.17 16:36

수정 2018.06.17 16:36

[특별기고] 통일시대의 4차산업혁명 전략

4차 산업혁명은 초연결 지능의 힘으로 부화되어 자가증식을 반복하는 거대한 초생명체다. 디지털 제국의 생태계에서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로 구성되는 필수 불가결한 인프라의 선제적 확보가 흥망성쇠를 가름한다.

독일의 '인더스트리 4.0 플랫폼'은 전국의 수백 만개 공장을 마치 하나의 가상적 공장처럼 엮어서 궁극의 미래 공장 생태계를 주도하고 있다. 전 세계 50억 소비자가 요구하는 개인화된 제품을 언제 어디서나 공급할 수 있는 필수 인프라의 세계 표준화가 목적이다. 일본의 '서사이어티 5.0' 비전은 초고령화와 자연재앙 경험을 토대로 과제해결 선도 플랫폼을 구축하고 전략 데이터 축적과 알고리즘을 증강하고자 한다. 중국은 허베이성 슝안신구에 AI기반 완전자율 자동차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최고 수준의 미래도시를 건설하는 중국판 4차 산업혁명 프로젝트 '천년 대계획'을 진행 중이다.


인도 역시 아드하르(Aadhaar) 시스템을 통해 세계 최대의 생체 빅데이터를 자양분으로 요람에서 무덤까지 안전한 디지털 정부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4차 산업혁명 전략은 자국의 장점을 살리는 프레임과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전략이 녹아 있다. 일단 정부가 발표한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과 '인공지능 연구개발(R&D) 전략'은 초연결·지능화 빅뱅의 본질을 비교적 정확하게 인식했다. 그러나 물리적 인프라와 국민의 디지털 역량 등 우리의 강점에 기반한 전략 프레임과 정책 패키지 제공 등의 관점에서 다소 포괄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 문제 해결을 위해 4가지 전략조건을 제안한다.

첫째, 한국형 4차 산업혁명 입국 전략은 국민 수요자의 관점에서 소망하는 국가상 정립과 해결과제를 명확히 도출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저출산·고령화, 에너지와 환경, 사교육비, 교통사고 및 산업재해, 권력층의 부정부패 등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고다. 우리의 4차 산업혁명 입국의 길은 국가 단위의 혁신시스템을 미래 근간산업으로 키워내는 '국가백년대계'여야 한다.

둘째, 초연결·지능고속도로를 선제적으로 구축하고 절박한 국가적 과제 해결과 연동하는 전략적 접근법을 선택해야 한다. 5000만명이 최첨단 유무선 인프라에 고밀도로 접속되고, 1500만가구의 스마트 전력량계와 1000만대의 자율자동차가 씨줄 날줄로 엮어졌을 상황에서 변화되는 미래생활상을 펼쳐줄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긴급한 어젠다부터 초연결 지능인프라, 데이터세트, 알고리즘 증강이 선순환되는 시스템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는 글로벌 플랫포머가 나올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전국의 병원 관련 공공기관, 이용자 등이 한몸으로 참여하는 총체적 완전체를 구상해 볼 수 있다. 유기적 플랫폼상에서 고품질 의료 데이터 자원을 정교하게 공유하면서 최고 수준의 건강장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의료 허브국가를 지향할 때 세계적 경쟁력이 담보된다.

마지막으로 이해관계자의 갈등을 중재하면서 남북통일 시대를 사정권에 넣은 4차 산업혁명 전략도 중요하다.
북한 지역은 단기간에 최첨단 인프라를 경제적으로 구축해 운용해 볼 최적의 조건이 잘 갖춰져 있다. 이런 국가단위의 실험적 공간성과 세계 시스템적 요충성을 살린다면 한국형 4차 산업혁명은 질적 도약이 이뤄질 것이다.


하원규 한국시스템다이나믹스 학회 고문

※본면의 외부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