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통신료 인하정책 직격탄 … 알뜰폰 사업 접을 판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9.18 17:12

수정 2017.09.18 22:06

7년간 제대로 된 수익 못내 후불 업체 전체가 적자상태
시장점유율 11% 넘었지만 매출비중은 3%밖에 안돼.. 퍼주기 정책 한계 드러내
통신료 인하정책 직격탄 … 알뜰폰 사업 접을 판

알뜰폰(MVNO·이동통신재판매) 업계가 사업 존폐에 대한 심각한 고민을 시작했다. 정부의 통신요금 인하 밀어붙이기로 '저렴한 요금'을 최대 무기로 내세웠던 알뜰폰 존재 이유가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가입자 이탈이 심각해지는 데다 앞으로도 수익을 낼 수 있다는 보장이 없다는 게 알뜰폰 업계의 하소연이다. ▶관련시리즈 16면

게다가 정부는 알뜰폰 업계의 하소연을 다시 이동통신망 도매대가 인하, 전파사용료 면제 같은 단기 땜질식 정책으로 무마하겠다고 한다.

업계 전문가들은 "정부가 통신요금 인하 효과를 자랑하는 수단으로 활용해 온 알뜰폰 정책을 전면적으로 새로 짜야 한다"며 "이미 시장경쟁 7년차를 맞고 있는 알뜰폰을 단기 땜질식 시혜정책으로 끌고가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가입자 점유율 11% vs. 매출점유율 3%…알뜰폰의 현주소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후불 알뜰폰사업자들이 본격 사업을 시작한지 7년이 됐지만 여전히 전체가 적자 상태다.
700만 가입자를 기반으로 알뜰폰이 국내 이동통신 시장에서 가입자 점유율은 11%를 넘겼지만 매출액 점유율은 이동통신 전체 시장의 3%에 머물러 있다. 한 알뜰폰 업체 대표는 "주주들로부터 현재 시장구조에서는 사업을 지속하는 것이 의미가 없다는 진단을 받았다"며 "조만간 사업 존폐에 대한 심각한 판단을 내려야 할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게다가 최근 이동통신 3사의 요금인하 정책이 본격화, 약정요금할인율이 25%로 높아지고 보편요금제 출시를 위한 법 개정을 앞둔 상황에서 알뜰폰은 사실상 생존을 고민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알뜰폰 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지금으로서는 생존을 위해 정부에 전파사용료 감면혜택 연장을 요구하고 이동통신 3사의 이동통신망 도매대가를 내리도록 정책을 동원해 달라고 요청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자생력 위한 투자유인정책 만들어야

결국 시한부 생존을 위한 시혜조치로는 알뜰폰이 국내시장에서 설 자리를 찾을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한양대 경영학과 신민수 교수는 "가격요인도 중요하지만 경쟁력 있는 단말 및 유통망을 확보하고, 이용자 보호 및 서비스 수준을 높여 질적인 부분의 체질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정책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려대 기술경영대학원 이성엽 교수도 "정책 지원이나 비대칭 규제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사업자 스스로 요금, 브랜드, 서비스에서 경쟁력을 가져갈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박지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