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건재 과시한 김정은 옆에 김여정…높아진 존재감 재확인(종합)

뉴시스

입력 2020.05.02 17:14

수정 2020.05.02 17:14

김정은 사망설에 후계자설까지 돌았던 김여정 김정은 밀착수행하며 사실상 2인자 위상 확인 준공식 자리 배치 서열 당 부위원장보다 높아 체제 내 공식 지위 뛰어넘는 실질적 입지 과시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지난 20일 동안 모습을 보이지 않아 갖가지 억측과 소문을 자아낸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1일 평안남도 순천에 있는 인비료공장 준공식에 참석했다고 노동신문 2일 보도했다. (사진=노동신문 캡처) 2020.05.02.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지난 20일 동안 모습을 보이지 않아 갖가지 억측과 소문을 자아낸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1일 평안남도 순천에 있는 인비료공장 준공식에 참석했다고 노동신문 2일 보도했다. (사진=노동신문 캡처) 2020.05.02.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김성진 김지현 기자 = '건강이상설', '사망설'이 돌았던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0일 만에 공개활동을 한 가운데, 김여정 당 제1부부장이 함께 모습을 드러내 눈길을 끌었다.

이번 김 위원장 '사망설' 해프닝 속에서 한때 후계자설(說)까지 돌았던 김 제1부부장은 오랜만에 이뤄진 김 위원장의 공개활동에서 밀착수행을 하며 또다시 높아진 위상을 과시했다.

2일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이 공개한 순천린(인)비료공장 준공식 행사 사진에서는 전보다 조금 짧아진 머리에 앞머리를 내린 채 검정색 치마정장 차림을 한 김 제1부부장의 모습이 등장했다.

김 제 1부부장은 김 위원장이 비료공장 준공 테이프를 자르는 장면에서 김 위원장의 오른편에 서서 가위 받침대를 들고 특유의 밀착 수행을 하며 사실상 '2인자'의 모습을 보였다.


김 제1부부장의 이같은 모습은 하루이틀 일은 아니다. 김 제1부부장은 남북 정상회담이나 북미 정상회담, 남북미 3자 회동 등 주요 국면에서 김 위원장의 '특사' 역할을 하거나 또는 '그림자 수행'하며 존재감을 과시한 바 있다.

지난해 신년사에서는 김 위원장, 조용원 당 제1부부장,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 등과 함께 화면에 잡히면서 김정은 정권 실세로 공식 서열을 뛰어넘는 입지를 확인시켰다.

이날 오후 조선중앙TV의 순천인비료공장 준공식 현장 영상 보도에 따르면 김 제1부부장은 행사장 연단 자리 배열에서도 높아진 위상을 드러냈다.

영상에 따르면 김 위원장의 오른쪽으로는 박봉주 국무위원회 부위원장, 김 제1부부장, 김덕훈·박태성 당 부위원장 자리가 순서대로 배치됐다.

[평양=AP/뉴시스]북한 당국이 제공한 1일 자 사진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평안남도 순천의 인비료공장 준공식에 참석하고 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20일 만에 처음으로 공개석상에 모습을 드러내 비료공장 완공을 축하했다고 보도하면서 그가 사망했을 수도 있다는 소문을 종식했다. AP 통신은 북한이 제공한 이 사진을 독립적으로 확인하지는 못했다고도 밝혔다. 2020.05.02.
[평양=AP/뉴시스]북한 당국이 제공한 1일 자 사진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평안남도 순천의 인비료공장 준공식에 참석하고 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20일 만에 처음으로 공개석상에 모습을 드러내 비료공장 완공을 축하했다고 보도하면서 그가 사망했을 수도 있다는 소문을 종식했다. AP 통신은 북한이 제공한 이 사진을 독립적으로 확인하지는 못했다고도 밝혔다. 2020.05.02.
김 제1부부장은 자신보다 당 내 서열이 높은 당 부위원장들을 제치고 김 위원장 가까이에 있는 자리에 앉음으로써 체제 내 공식 지위를 뛰어넘는 실질적 입지를 보여준 것으로 관측된다.

김 제1부부장은 비록 공식서열은 높지 않지만 이른바 '백두혈통'으로서 위상은 계속해서 쌓아가는 모습이다. 특히 올해 들어 그 위상이 한층 강화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김 제1부부장은 지난 3월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 발사에 유감을 표명한 청와대를 향해 "겁 먹은 개가 요란하게 짖는다"며 강도 높은 비난 담화를 내면서, 사실상 김 위원장의 목소리를 대신 냈다는 평가가 나왔다.


더불어 지난해 말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북한 고위간부들의 인사권을 갖는 핵심 부서인 조직지도부 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공식서열도 한층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김 제1부부장은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상실한 것으로 추정되는 정치국 후보위원직도 지난 11일 김 위원장이 주재한 노동당 정치국 회의 결과 복원됐다.


김 위원장이 전면에 등장하면서 구문이 됐지만 '사망설' 등이 돌던 당시 북한에 급변사태가 닥치면 김 제1부부장이 최고지도자의 대리인으로서 국정의 키를 쥘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온 것은 이 같은 김 제1부부장의 위상을 두고 나온 분석이었다.

◎공감언론 뉴시스 ksj87@newsis.com, fin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