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거리두기 동참할수록 손해… 더는 못버텨" 문여는 헬스장·클럽

오은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4.06 16:00

수정 2020.04.06 20:34

정부, 고강도 거리두기 2주 연장
"적자 한계치" 하나둘 영업 재개
방역 준수사항 얼마나 지킬지 관건
지난 5일 새벽 서울 강남구의 한 클럽 앞에 20대로 보이는 청년들이 클럽에 입장하기 위해 줄지어 서 있다. 인터넷커뮤니티 캡처
지난 5일 새벽 서울 강남구의 한 클럽 앞에 20대로 보이는 청년들이 클럽에 입장하기 위해 줄지어 서 있다. 인터넷커뮤니티 캡처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오는 19일까지 2주간 연장됐지만 최근까지 휴업을 이어오던 운영 제한 조치 대상 시설들의 자영업자들이 영업을 재개하고 있다. "더 이상 적자를 버틸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6일 당국에 따르면 감염 위험이 높아 운영 제한이 필요한 다중이용시설은 종교시설과 일부 실내 체육시설, 유흥시설, 그 외 지자체가 정한 PC방 등 추가 업종시설이다. 해당 시설은 운영을 계속 중단하고, 불가피하게 운영할 때도 방역 당국이 제시하는 준수사항을 따라야 한다.


■"휴업하면 손해, 더는 못 버텨"

이 같은 조치에 헬스장과 유흥업소 등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은 1차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끝나는 지난 5일까지 영업을 중단하는 등 캠페인에 동참했다. 그러나 2주 더 연장돼 2차까지 이어지자 "이제는 어쩔 수 없다"며 하나 둘 문을 여는 모양새다.

서울시 동작구에 위치한 한 헬스장도 휴관기간을 끝내고 이날 정상 영업했다. 다만 이 헬스장은 그룹 및 개인 PT, 요가 등 기타 모든 수업들을 진행하지 않는다. 공용으로 사용하던 운동복과 수건 등도 빌려주지 않고, 샤워실도 문을 닫았다.

해당 헬스장 관계자는 "다시 오픈하는 기간을 기다리는 손님들이 많다"며 "헬스장 입장에서도 손실이 너무 커 일단 열긴 했지만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샤워실도 문을 닫는 등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클럽 등 유흥시설들도 영업을 재개하는 분위기다.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지난 5일 새벽 서울 강남구 클럽 앞 길게 줄이 늘어선 사진이 올라오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자영업자들 사이에서는 "휴업하는 사람이 손해"라는 말이 나오기도 한다.

클럽 관계자는 "일부 규모가 작거나 매장 전체가 1종 유흥업소로 등록되지 않은 클럽들은 다시 문을 여는 것 같다"라고 밝혔다.

종교시설들도 정부가 발표한 제한적 허용시설 및 업종별 준수 사항을 철저하게 지키는 조건으로 집회 및 모임을 다시 여는 곳이 늘고 있다. 서울시내 한 대형교회에 다니는 김모씨(39)는 "다시 예배가 시작된다고 해 갔는데, 발열체크와 출입자 명단 작성은 물론 간격 유지까지 철저하게 지키고 있었다"며 "하지만 여전히 참석자는 1/3 도 안 되게 줄어든 분위기"라고 말했다.

■"문 열지만 뾰족한 수는 없어"

영업을 강행한다고 해서 뾰족한 수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이미 '고위험 사업군'으로 분류되고 여론이 좋지 않다 보니 발길을 끊은 손님이 돌아오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노래방과 PC방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은 매출이 평소의 10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며 입을 모았다. 한 노래방 운영자는 "나만 닫으면 손해 보는 느낌이라 영업을 강행했는데 손님이 아예 없다"라며 "밥 값이라도 벌자는 마음인데 그마저도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일각에서는 초, 중, 고등 학교가 온라인 개학을 하면서 PC방이 반사효과를 볼 거라고 내다봤지만 현실은 달랐다. 이날 영업 중인 PC방은 대부분 텅 비어서 10명 이상 손님이 있는 곳을 찾기 어려웠다.

PC방 관계자는 "밀집된 공간이 위험하다는 인식 탓에 주말에도 손님이 없다"며 "어제는 일요일이었지만 손님이 50명 정도 밖에 오지 않았다"고 하소연했다.


한편 정부는 당초 이날까지로 예정돼 있던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을 19일까지 2주 연장키로 했다. 교회와 헬스장, 클럽 등 전국 다중이용시설 운영 역시 2주간 제한된다.
정부는 2차 캠페인을 통해 일일 신규 확진자 50명 이하, 감염 경로 미상 확진자 비중 5% 이하를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onsunn@fnnews.com 오은선 윤홍집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