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테헤란로

[여의도에서] 널뛰는 아파트값, 어디로

김현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4.06 17:24

수정 2020.04.06 17:24

[여의도에서] 널뛰는 아파트값, 어디로
'널뛰기 식'으로 움직이며 '도도한 콧대'가 꺾이기 시작한 강남 집값을 놓고 해석이 분분하다.

잇단 규제에도 움직이지 않던 강남 아파트 가격이 코로나19 사태가 확산일로에 접어들며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정국의 불투명한 미래 때문인 듯 매매 추이는 변동폭(고가 매물과 급매의 실거래 격차)에 따라 출렁거리며 왜곡되고 있다.

강남 아파트 매매가는 지난 3월 중순부터 이미 고개를 숙였지만 20억원을 훌쩍 넘는 매매가격은 건별로 2억~3억원씩 오르락내리락 줄타기를 반복하고 있다. 이에 한편에서는 "대세 하락장이 시작됐다"고 말하고, 다른 쪽에서는 "매물이 소화되면 급반등이 올 것"이라고 말한다.

취재 현장의 의견도 사뭇 갈린다.
얼마 전 건설부동산 분야를 오랫동안 담당했던 타 언론사의 K팀장과 '강남의 가격 하락'을 어떻게 보는지를 놓고 '작은 논쟁'이 벌어졌다. K팀장은 "강남 재건축이 최대 5억원 떨어지고, 송파구의 '대장 아파트'도 6억원이나 낮은 가격에 거래되자 강남 르포를 지시했다"고 말문을 뗐다. 그는 "하지만 알아보니 급락한 거래는 특수관계인 사이이거나 증여 등이 섞여있고, 일부 매물은 층·향이 좋지 않아 실수요가 꺼리는 매물이었다"고 말했다. K팀장은 투자수요가 끊긴 것은 맞지만, 아직 강남발 대세하락보다는 하락조정이 맞다고 결론을 냈다. 그는 결국 집값은 한꺼번에 제자리를 찾는다는 오랜 경험칙을 이번에도 기대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게 맞는 말일까. K팀장의 의견에 대해 "코로나19가 시장 왜곡의 변수이지만, 지난 금융위기 때처럼 규제환경 아래서 실물경제로까지 위기가 번지면 부동산 위축은 불가피하다. 다만 이것이 얼마나 장기로 이어질지 또는 하락폭이 어디까지 갈지가 관건"이라고 반박했다.

이 작은 논쟁은 아주 싱겁게 결론이 났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네 말도 맞다"이다. 비겁한 이야기지만 서로 같은 현상을 놓고 우려와 기대가 갈린 것에 동의한 것이다. '호가가 떨어지니 가격이 내릴 것이다'와 '호가만 떨어지니 가격은 회복할 것이다'를 판가름할 충분한 경제활동(매매거래량)이 없다는 점에 의견이 일치한 셈이다.

시장도 우려와 기대가 교차하며 비슷한 방식으로 반응하고 있다. 강남은 약세이지만, 수도권 비규제 지역은 여전히 가격이 오르고 있다. 분양시장은 입지가 좋은 곳은 여전히 수백대 1의 경쟁률을 찍는다.

시간이 더 지나면 부동산 시장의 큰 물결이 정해지겠지만 현재는 하락에 무게추가 더 실리는 모습이다. 이를 반영하듯 정치권은 '1주택자 종부세 완화'를 공약으로 내걸고, 정부도 급격한 경기위축을 염려해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완화'라는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이는 LTV 기준을 변경해 부동산을 띄우는 것이 아니라 대출의 문을 넓혀 자산(아파트)의 현금화(대출)를 통해 가계의 자금 숨통을 터주려는 의도다. 강남발(發) 부동산 시장 전망이 엇갈리는 이유는 명확하다. 지금이 이제껏 경험하지 못한 코로나19에 의한 비정상적 시장이기 때문이다.


다만 칼날 위에 선 부동산 시장을 보며 우려되는 점이 있다. 정부가 부동산 안정화에 매몰돼 혹시나 코로나19가 만든 공포의 경제에 부동산 위기를 더 얹을까 하는 것이다.
그 피해는 정부가 그토록 잡으려던 '현금을 쌓아놓은 투기세력'보다 달랑 집 한 채, 그마저도 대출로 꽁꽁 묶인 일반 서민에게 더 크게 다가올 것이기 때문이다.

kimhw@fnnews.com 김현우 건설부동산부 차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