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전경련 "중국시장 내 한국기업 점유율, 2015년 이후 지속 하락"

뉴스1

입력 2020.02.18 11:01

수정 2020.02.18 11:01

(전경련 제공)© 뉴스1
(전경련 제공)© 뉴스1

(서울=뉴스1) 정상훈 기자 = 중국시장에서의 우리나라 기업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유엔 컴트레이드'(UN Comtrade) 무역통계를 이용해 2010년부터 2019년(1~11월)까지 중국 전체 수입시장에서의 한국·일본·미국·독일 등 상위 4개국 시장점유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한국은 2015년 10.4%에서 2019년 8.5%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들의 시장점유율도 하락했다. 2015년과 2019년을 비교했을 때 일본은 8.5%에서 8.3%로, 미국은 8.9%에서 6.0%로 시장점유율이 줄어들었다. 독일 또한 5.2%에서 5.1%로 떨어졌다.

지난 2015년부터 중국 정부가 '중국제조 2025'를 표방하며 자국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속 지원한 영향 때문인 것으로 전경련은 분석했다.


중국 내수용 수입시장 시장점유율 추이에서도 한국은 2016년 7.9%로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2018년 5.4%로 2.5%p(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글로벌 생산기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아세안은 2011년 10.2%에서 2018년 12.1%로 중국 내 시장점유율이 증가했다.

재중(在中) 한국기업의 투자액 대비 매출액 추이 또한 2013년 7.3배를 정점으로 2017년 4.5배까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률도 2013년 4.9%에서 2017년 3.8%로 낮아졌다.

특히 전기전자와 자동차 분야가 지난해까지 반도체 단가급락 및 스마트폰·승용차 판매부진이 계속되면서 시장점유율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전경련은 한국기업의 중국시장 점유율은 앞으로 더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과 중국이 1단계 무역협상을 타결하면서, 향후 미국기업의 중국 수입시장 접근도가 개선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중국의 대미(對美) 공산품 수입액은 2017년 788억달러에서 2021년 1565억달러로 두 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비중도 2017년 9.1%에서 2021년 18.0%로 8.9%p 증가할 전망이다.

중국 수입시장에서 미국의 시장점유율은 공산품뿐만 아니라 농산품·에너지·서비스 품목에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한국기업의 중국시장 공략은 더욱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우리 기업들이 중국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는 기업을 벤치마킹해서 중장기 전략을 다시 세워야 한다"며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글로벌 서플라인 체인의 다변화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