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추진부터 결정까지 13년…우여곡절 겪은 대구통합공항 이전

뉴스1

입력 2020.01.29 14:00

수정 2020.01.29 14:00

군공항(K-2)과 대구국제공항이 이전하는 210만평을 최첨단 스마트시티와 수변도시로 만드는 것이 대구시의 계획이다. 사진은 종전부지 개발 조감도(대구시 제공)© 뉴스1
군공항(K-2)과 대구국제공항이 이전하는 210만평을 최첨단 스마트시티와 수변도시로 만드는 것이 대구시의 계획이다. 사진은 종전부지 개발 조감도(대구시 제공)© 뉴스1

(대구=뉴스1) 이재춘 기자 = 대구 동구 검사동·도동·둔산동 등 7개 동(洞)에 걸쳐 있는 군공항(K-2)·민간공항(대구국제공항) 부지는 693만2000평(약 210만평)에 이른다.

이곳 주민들은 수십년간 전투기와 민항기가 뜨고 내릴 때마다 소음에 시달려야 했고, 고도 제한에 묶여 건물도 마음대로 올리지 못했다.

견디다 못한 대구 동·북구 주민들이 2007년 11월 'K-2 이전 주민비상대책위원회'를 발족하면서 군공항 이전운동이 시작됐다.

그해 이명박 대선 후보가 K-2 이전을 공약으로 내걸었고, 당선되자 국정과제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대규모 정부 재정 투입이 곤란하다"는 이유로 질질 끌다 결국 MB 정부가 끝날 때까지 이전 사업은 한걸음도 나아가지 못했다.

2012년 박근혜 대선 후보 역시 같은 공약을 내놨다.

박 전 대통령도 당선 후 K-2 이전을 국정과제에 포함시켰고, 2013년 4월5일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다시 탄력이 붙기 시작했다.

특별법에는 공항 이전·건설 비용을 지자체가 현재의 공항 부지를 개발해 마련하는 기부대양여 방식으로 조달하는 규정을 담았다.

특별법이 만들어지자 대구시는 2014년 5월 국방부에 K-2 이전 건의서를 처음 제출했다.

그러다 경남 밀양과 부산 가덕도를 놓고 영남권 신공항 건설 경쟁이 벌어지면서 공항 이전이 다시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2016년 6월 국토부가 영남권 신공항 대신 김해공항을 확장하고, 대구공항을 존치하기로 결정해서다.

꺼지는 듯 하던 공항 이전 불씨는 박근혜 정부가 K-2·대구공항을 통합이전하기로 발표하면서 간신히 되살아났다.

이후 이전 사업이 탄력을 받아 2017년 2월 대구통합공항 예비이전 후보지로 경북 군위군 우보면과 의성군 비안면·군위군 소보면 2곳이 선정됐다.

이어 문재인 정부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대구통합공항 이전이 반영되면서 가속도가 붙었다.


그러나 이전 후보지인 군위군과 의성군이 선정 절차와 기준을 놓고 갈등을 빚으면서 절차가 더디게 진행됐다.

6차례의 이전부지 선정실무위원회, 5차례의 선정위원회, 2차례의 이전사업 지원지원회가 열린 끝에 지난해 12월19일 국방부가 이전부지 선정계획을, 같은달 23일 주민투표 발의를 공고했다.


지난 22일 단독후보지인 군위군 우보면, 공동후보지인 의성군 비안면과 군위군 소보면 3곳에 대한 주민투표에서 의성 비안이 투표율과 찬성률에서 1위를 차지하자 국방부가 29일 공동후보지를 사실상 이전지로 결정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