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특별기고

[특별기고] 청년창업농 육성의 절실한 당위성

안삼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5.13 17:20

수정 2019.05.13 17:20

[특별기고] 청년창업농 육성의 절실한 당위성

최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조사대상 농가의 평균소득은 4206만6000원으로 전년 대비 10% 늘었다고 한다. 반갑기 그지없는 소식이다. 하지만 그 이면을 들여다보면 모든 연령대의 소득이 높아진 것은 아니다.

지난 2017년 5222만원이었던 40대 이하 연령의 소득은 2018년 5155만원으로 1.3% 줄어든 반면 60대의 소득은 같은 기간 4.1% 증가했다. 70대 이상도 1년 만에 10% 이상 소득이 증가해 2900만원대에 육박했다. 어가도 비슷한 양상으로 연령대별 희비가 교차했다고 한다.
지난해 어가의 평균소득은 5184만원으로 전년 대비 5.8%, 282만원 늘어나 전체적인 소득은 늘었지만 농가소득과 마찬가지로 40대 이하는 크게 줄었다. 1년 만에 15.0%, 약 2000만원이 감소했다. 역시 이와는 대조적으로 60대와 70대의 소득은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청년실업률이 일본은 3.7%로 세계에서 가장 낮았다. 그에 반해 한국은 10.5%로 OECD 국가에서 중간에 해당된다고 알려졌지만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3월 청년체감실업률은 25.1%를 기록하며 통계발표 이후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대한민국은 반만년 역사상 초단기간에 경제 10대 강국으로까지 도약했다. 그 중심에는 지금의 어른세대인 그 당시의 청년세대가 그 중심이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경제 10대 강국이자 아시아 '5룡'의 하나인 우리나라 청년들의 미래가 암울하고 불투명해졌다. 이 같은 암울한 청년 현실의 핵심 문제는 바로 청년실업에 있다고 한다.

청년창업농 육성정책은 비단 청년실업률 해소뿐 아니라 농가 경영주 고령화에도 대응해 농업 인력구조를 개선하고, 젊고 유능한 인재의 농업분야 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사업이 되기도 한다. 대상자는 만 18세 이상 40세 미만 영농경력 3년 이하의 농업분야 창업을 준비하는 청년으로 조기 경영 안정화를 위해 월 최대 100만원의 생활안정자금을 최장 3년간 받을 수 있고, 창업자금·영농기술 교육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농촌 내 청년일자리 창출과 청년들의 농촌 정착을 위해 지난해부터 '청년농부 2000명 육성 프로젝트'를 수립해 농협과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련 기관이 같이 추진하고 있다. 2022년까지 청년농부 2000명을 육성할 계획이다.
농업 기반이 없는 이 땅의 청년들에게 토지를 임대해 수익을 공유하는 농업 주주사업, 청년농부 일자리사업인 월급 받는 청년농부제, 도시청년 시골파견제 등 다양한 방식이 제시돼 청년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청년창업농들의 영농정착지원사업은 농촌인력 고령화와 후계인력 급감 등 농업·농촌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6차산업화와 ICT 기반 첨단농업을 이끌어 갈 청년농부 육성을 위해 시행되고 있고 첨단기술이 융복합된 스마트팜과 같이 농업부문도 4차 산업혁명 기술 활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누군가 그러지 않았던가. 달리는 말에 채찍을 가해 더욱 고삐를 죄라고. 이런 농업 신기술 수용력이 높은 청년세대의 유입책을 강화하고 농업분야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관련기관과 우리 기성세대는 물심양면을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정석윤 농협구미교육원 교수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