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10월 취업자 6.4만명 늘었지만 실업률 13년만 최대치...고용부진 여전(종합)

정지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11.14 10:19

수정 2018.11.14 10:19

10월 취업자 6.4만명 늘었지만 실업률 13년만 최대치...고용부진 여전(종합)

지난달 취업자가 1년 전에 비해 6만4000명 증가했다. 건설업, 서비스업, 20대 후반 취업자가 증가한 영향을 받았다. 취업자 수 증가폭은 지난 8월 3000명에 그친 이후 점차 회복되는 추세다. 하지만 4개월째 10만명을 밑돌고 있는데다 실업자는 19년만에, 실업률은 13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고용상황이 해소됐다고 판단하기엔 역부족이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13업자 수는 2709만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만4000명 늘어났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지난 6월 전년동월대비 10만6000명을 기록한 이후 7월 5000명, 8월 3000명까지 곤두박질 쳤다가 지난달부터 4만5000명으로 확대됐다.
그러나 아직 4개월째 10만명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10월 고용이 다소 개선됐으나 제조업 취업자 감소, 서비스업 고용 증가세 미약 등 여전히 엄중하다”라고 “양적인 측면에서 고용여건이 좋아졌다고 보여지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취업자 증가는 11~12월 아파트 입주물량 증가 등 건설업의 마무리 공사 수요 확대의 영향이 컸다.

건설업 취업자 수는 1년 전과 견줘 6만명 증가한 209만명으로 집계됐다. 전월과 비교하면 3만명 늘었다. 판단의 근거가 된 월 평균 아파트 입주물량은 10월 3만5000호, 11월 4만7000호, 12월 4만6000호 등이었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도 15만9000명(8.0%) 확대됐다. 정보통신업은 8만1000명(10.4%), 건설업은 6만명(3.0%) 등으로 증가했다.

반면 도매 및 소매업은 과대경쟁, 업황 부진 등 때문에 10만명(-2.6%) 줄었다. 숙박 및 음식점업은 9만7000명(-4.2%) 감소했다.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은 작년 12월부터 마이너스를 이어가고 있다.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은 파견 축소·정규직 전환 등으로 8만9000명(-6.5%) 등으로 감소했다.

제조업 취업자 수 역시 구조조정 등으로 감소세가 지속되는 모습이다. 제조업은 올해 4월 마이너스 전환이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가 35만명 늘었지만 임시근로자는 13만8000명, 일용근로자는 1만3000명 각각 줄었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0만1000명, 무급가족종사자는 3만명,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4000명 각각 축소됐다.

15세~64세 고용률은(OECD비교 기준) 66.8%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할 때 0.2%포인트 하락했고 15세~29세 청년고용률은 42.9%로 1.1%포인트 확대됐다.

연령별 취업자 수의 경우 25세~29세가 10만2000명으로 두드러졌다. 반면 30~39세는 7만4000명, 40대는 15만2000명으로 각각 감소했다.

실업자는 97만3000명으로 1년 전과 견줘 7만9000명 늘었다. 20대에선 실업자가 줄었지만 40대와 50대 등에서 증가했다. 10월 기준 실업자 수는 외환위기 당시인 1999년 이후 가장 많다.

실업률은 전년동월대비 0.3%포인트 상승한 3.5%로 기록됐다. 실업률은 2005년 3.6%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빈 과장은 “고용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상항에서 40대와 50대를 중심으로 실업자가 크게 증하면서 전체 실업률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풀이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재학·수강 등(-19만3000명, -4.7%), 육아(-7만1000명, -5.7%) 등에서 감소했고 가사(13만명, 2.3%), 쉬었음(9만명, 5.3%) 등에서 증가해 전년동월대비 10만5000명 확대됐다. 구직단념자는 52만6000명으로 작년보다 4만7000명 증가했다.


빈 과장은 "단기 일자리 증가 정부정책이 발표됐던 때와 10월 조사대상 시기는 일치하지 않아 연관성은 없어 보인다"며 "음식·숙박업의 감소와 최저임금 인상 영향 관계를 파악하는데는 패널 조사에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