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돌파구 없는 무역갈등...가파른 中경제둔화

정지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12.04 15:00

수정 2019.12.04 15:00

- 미중 1차 무역합의 서명 연말 넘길 가능성
-  中 기업, 은행, 부동산 등 내부여건 부실
돌파구 없는 무역갈등...가파른 中경제둔화

[파이낸셜뉴스]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이 돌파구를 찾지 못한 채 신경전을 이어가면서 내년 중국경제 둔화의 속도가 보다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미중 양국의 1차 무역합의가 당초 11월 말에서 기한 없이 연기된 데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선거 후 무역합의’ 발언과 중국의 ‘장기대응 전략’까지 겹치면서 이 같은 주장에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미중 무역갈등의 불확실성은 중국을 포함한 세계경제의 공통된 핵심 리스크 요인이다. 여기다 중국은 현재 민간기업과 은행, 부동산 등에서 상당한 침체기를 겪고 있다. 이대로라면 중국은 5% 후반대의 경제성장도 장담할 수 없게 된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4일 주요 외신과 거시경제·산업 정보업체 CEIC, 한국개발연구원(KDI) 등에 따르면 최근 중국의 주요 실물지표가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앞으론 6%대의 경제성장률도 유지하기에 어렵다는 평가가 늘고 있다.


이미 세계 3대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나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 국제통화기금(IMF)은 미국과 무역갈등, 중국 내부 구조조정 등을 근거로 내년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5.8%로 예상했다. 또 미국 블룸버그통신은 경제전문가 설문조사에서 5.9%를 전망으로 제시했다.

중국 안에서도 평가는 회의적이다. 중국사회과학원 산하 국가금융·발전실험실(NIFD)은 중국 정부 관련 싱크탱크 중 처음으로 6%대를 아래인 5.8%로 내년 경제를 내다봤다. 중국 인민대는 이보다 0.1%포인트 높긴 하지만 역시 6%대 아래인 5.9%로 전망했다.

미중 관계의 관심은 지난 10월 워싱턴DC의 1단계 구두 무역합의에 대한 서명이 언제 이뤄지는지 여부였다. 그러나 시점은 당초 11월 말에서 연말로 미뤄졌고 최근엔 “내년 대선 이후”, “장기대응 전략” 등의 발언이 쏟아지면서 신경전이 다시 가열되는 양상이다.

중국 경제에 대한 비관론의 다른 근거는 내부 기초여건의 부실이다. 미국 블룸버그통신과 IMF에 따르면 중국 기업의 수익성이 민간을 중심으로 크게 떨어지면서 채무불이행 기업 수는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기업이 보유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인 총자산순이익률(ROA)은 2010년 5%대 초반에서 2018년 3% 초반으로 추락했고 채무불이행기업 수는 2017년 50만여개에서 2018년 150만여개 이상 급증한 뒤 올해 1분기에만 40만개를 넘어섰다. 이 가운데 90% 이상은 민간 기업이다. 기업이 수입에서 얼마를 이자비용으로 쓰고 있는지를 가늠하는 이자보상배율의 경우 100% 미만인 기업이 20%를 육박했으며 적자기업 비중은 2017년 8~9%대에서 1년 만에 2배 수준인 16%까지 올라왔다.

중국 민간기업의 자금난은 은행 건전성 약화에서도 찾을 수 있다. CEIC자료를 보면 중국 은행의 부실채권 규모는 2016년 1조4000억위안 대에서 해마다 늘어나 2019년 2조3000억위안 수준까지 치솟은 반면 순이자수익율은 2%대 초반까지 하락했다. 은행이 어려우니 기업에게 대출할 수 있는 여력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베이징 등 중국 대도시의 부동산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폭등하면서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비율을 2008년 18.0%에서 2018년 50.3%로 3배 가까이 확대시켰다. 하지만 작년부터 부동산경기가 얼어붙으며 가계와 기업의 위기를 불러오고 있다.
2018년 기준 GDP 대비 기업부채비율은 165%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경제 성장세가 눈에 띄게 둔화했으며 기업과 가계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면서 “또 지방은행들의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가 속속들이 나오면서 중국 경제 곳곳에서 이상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김성태 KDI 경제전망실장은 “미중 간 관세부과의 영향이 점차 확대되면서 실물경제 활동을 크게 제약하고 있다”면서 “기업 수익성 악화 등 취약한 기초여건이 상당 기간 하방위험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