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파생결합상품 사태, 정보비대칭성·복잡성부터 개선해야"

윤은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10.27 12:00

수정 2019.10.27 12:00

25일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장외 파생결합증권의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심포지엄에서 이재호 한국거래소 연구위원, 김영길 순천향대 교수, 강병진 숭실대 교수, 정도진 한국회계정보학회 회장, 손영채 금융위 자본시장과장, 최영수 한국외대 교수, 전균 삼성증권 이사, 지현준 한국투자증권 상무(왼쪽부터)가 패널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윤은별 인턴기자)
25일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장외 파생결합증권의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심포지엄에서 이재호 한국거래소 연구위원, 김영길 순천향대 교수, 강병진 숭실대 교수, 정도진 한국회계정보학회 회장, 손영채 금융위 자본시장과장, 최영수 한국외대 교수, 전균 삼성증권 이사, 지현준 한국투자증권 상무(왼쪽부터)가 패널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윤은별 인턴기자)

[파이낸셜뉴스] 원승연 금융감독원 부원장이 최근 해외 금리연계형 파생결합상품(DLF·DLS) 사태 등으로 불거진 투자자 보호 이슈와 관련해 "파생결합증권 그 자체보다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더 문제"라고 지적했다.

원 부원장은 25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장외 파생결합증권의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심포지엄에서 "파생결합증권에 대한 오해가 많다. 필요한 사람에겐 좋은 금융 수단이 되기도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파생상품 관련 이슈는) 어떻게 설명하고 판매하느냐, 영업행위의 문제"라며 "학계에서도 영업행위를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 진지하게 함께 논의해 보는 것이 좋겠다"고 부연했다.


전문가들은 파생결합증권 시장의 문제점으로 정보의 비대칭을 공통적으로 지목했다. 강병진 숭실대 교수는 "일반 개인투자자가 (파생결합증권 관련 자세한 정보를) 이해할 수 있겠냐는 것"이라며 "파생결합증권은 기본적으로 극단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손실이 생긴다. 그런 극단적 상황에서의 손실을 측정하는 최대예상손실액(VaR)이나 조건부 VaR에 기초한 객관적 위험지표를 개발해 투자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영길 순천향대 교수 역시 "(파생결합증권의) 발행기관과 투자자 사이에 정보 비대칭이 있다"며 "정보가 제공된다고 하더라도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 투자자 입장에서 이를 해석하고, 어느 정도 위험성을 견뎌야 하는 지 적절히 판단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시장 개선방안에서도 정보비대칭성 완화가 주로 언급됐다. 이재호 한국거래소 연구위원은 발행자와 판매자의 정보 공개 의무를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스트레스 테스트나 시나리오 테스트를 통해 투자위험 관련 풍부한 자료 제공을 의무화하거나, 발행자의 추정가격을 공개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 다양한 측정 지표를 마련해 파생결합증권의 위험성과 복잡성을 개별 상품이나 클래스별로 결정하고 알리는 아이디어도 내놨다.

이밖에 국내 파생결합증권 시장의 문제점으로는 △복잡한 상품구조 △자금 쏠림 현상 △모호한 중위험의 개념 등이 지적됐다.
강병진 교수는 복잡한 상품 구조에 대해 "지난 15년간 계속해서 얘기해오고 있지만 개선되지 않고 있다. 투자자도, 발행기관도 복잡한 구조로 인한 수익이 존재하기 때문"이라며 "서부텍사스산원유(WTI)·브렌트 원유선물, 이자율스와프(CMS) 금리 등 투자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기초자산이 많이 편입되면서 상품의 복잡성을 강화하는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DLF 사태에 대한 종합적 대응 방안을 내달 초 발표할 예정이다.

silverstar@fnnews.com 윤은별 인턴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