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일반

"블록체인 산업도 융합 바람...독자적 수익모델 갖춰 경쟁해야"

김소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10.17 17:06

수정 2019.10.17 17:07

글로벌 블록체인 엑셀러레이터 블록크래프터스, 리서치 결과 발표 "기술-서비스-암호화폐 시장, 분리 의미없어…산업간 공존 가속화" "비즈니스 모델 발굴, 기업 존폐 가를 것…전통 수익모델 주목해야"
이혜빈 블록크래프터스 연구원이 17일 잠실 롯데타워에서 열린 '블록체인 산업의 가치사슬' 컨퍼런스에서 발표하고 있다.
이혜빈 블록크래프터스 연구원이 17일 잠실 롯데타워에서 열린 '블록체인 산업의 가치사슬' 컨퍼런스에서 발표하고 있다.

신생 산업에 속하는 블록체인 산업도 본격적인 융합 바람이 불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술인프라와 금융, 블록체인 서비스로 구분돼 있는 현재 블록체인 산업계의 영역구분이 희미해지고 본갹적입 융합을 동해 성장을 노리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업계는 생존경쟁을 위해 자체적으로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마련하고 경쟁을 준비해야 한다는 조언이 제시됐다.


■ “블록체인 기업, 서비스 확장 본격화”


이혜빈 블록크래프터스 연구원은 17일 잠실 롯데타워에서 열린 ‘블록체인 산업의 가치사슬’ 컨퍼런스에서 “현재 블록체인 산업은 기술 인프라,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자, 암호자산 금융시장 등 크게 세 영역으로 분리돼 있으나, 향후 분야에 상관없이 통합과 경쟁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이라 전망했다.


블록체인 업체들이 단일한 분야에서 한정된 서비스만 개발하던 시기를 지나 다양한 부문에 걸쳐 서로 다른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최종 사용자와의 접점 늘리기에 돌입하기 시작했다는 것.


이 연구원은 “암호화폐 지갑 업체의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앱) 마켓 서비스 진출이나, 암호화폐 거래소 후오비의 블록체인 특화 저가형 스마트폰 출시 발표 등 블록체인 산업 내 경계가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며 “각 블록체인 업체별 네트워크 효과 및 락인(Lock-in) 효과 선점 경쟁이 본격화되는 양상”이라 진단했다.


■ “블록체인 가치사슬 간 통합 가속화”


이 연구원에 따르면 블록체인 산업의 가치사슬은 하드웨어 인프라 구축을 시작으로 블록체인 프로토콜 개발, 블록체인 앱 개발 및 배포 등으로 연속 발전해왔다. 이들은 각자 고유의 ‘토큰 이코노미(암호화폐보상체계)’를 기반으로 독자적인 네트워크 생태계를 구축하는 동시에 가치사슬 간 통합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이 연구원은 “블록체인 프로토콜 제공자는 최종 사용자와의 접점 확보를 위해 블록체인 앱 배포 시장으로 진입하거나, 관련 업체를 인수하기도 한다”며 “중국의 프로토콜 업체인 트론(TRON)이 블록체인 앱 스토어 코인플레이(CoinPlay)를 인수한 사례가 대표적”이라 강조했다.


■ “업체별 수익모델 발굴 필수…기존 시장도 눈여겨봐야”


동시에 블록체인 가치사슬의 단일 구간에서도 향후 더욱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할 것이란게 이 연구원의 말이다. 일례로 블록체인 프로토콜 개발 업체는 오픈소스 비즈니스 모델을 바탕으로 기업간(B2B) 비즈니스 지원 서비스나, 브랜드 및 상표권을 통한 수익화 가능성 등을 고려해볼 수 있다는 것.


이 연구원은 “통상 개발자들이 오픈소스 비즈니스를 활용한 수익창출 방안에 대해 회의감을 가지고 있지만, 오픈소스가 수익부재로 꼭 이어질 필요는 없다”며 “블록체인 플랫폼 지원 서비스 판매, 소프트웨어 프랜차이징, 브랜드 라이선싱, 기타 소프트웨어 관련 제품 판매 등 다양한 수익 모델을 생각해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마찬가지로 이 연구원은 블록체인 앱 개발 및 배포 구간에서도 충분히 중장기적 수익모델을 구축해 나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블록체인 앱 개발 업체는 기존 모바일 앱 수익모델과 흡사하게 앱에서 발생하는 거래 수수료나 광고, 멤버십 기능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앱 배포 업체 역시 배포 및 프로모션 수수료, 데이터 컨설팅 등 보다 다양한 수익모델을 채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애플 앱스토어는 넷플릭스 인앱결제를 통해 한해동안 3천억원 이상의 서비스 수수료를 벌어들였다”며 “블록체인 앱 스토어 또한 구독결제 서비스에 기반한 수익모델을 설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srk@fnnews.com 김소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