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제주도, 전기차 특구 지정 재도전…‘충전서비스’에 사활[fn패트롤]

좌승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9.29 17:47

수정 2019.09.29 19:52

1차 선정 탈락 후 계획 대폭 수정
이동형 충전기·공유 플랫폼 구축
전문기업 활용 '수익모델' 창출도
지난 2016년 11월 문을 연 '태양광 융합형 전기차 충전소 개소식'에서 원희룡 제주도지사(맨 앞)와 김시호 한전 부사장이 충전 시연을 마치고 대화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공
지난 2016년 11월 문을 연 '태양광 융합형 전기차 충전소 개소식'에서 원희룡 제주도지사(맨 앞)와 김시호 한전 부사장이 충전 시연을 마치고 대화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공
【제주=좌승훈 기자】 '전기자동차의 섬' 제주도가 미래 성장동력 확보 차원에서 '전기차 충전 서비스 규제자유특구' 지정에 사활을 걸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 4월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1차 규제자유특구 선정에서 제외된 '전기차 특구' 계획을 '전기차 충전서비스 특구'로 대폭 수정해 재도전에 나섰으며, 지난 4일 2차 지정 우선협의 대상에 올랐다.

■ 안전 최우선…충전시간 단축·공간 점유 최소화

당초 제주도가 추진했던 전기차 특구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전기차 개조 실증과 전기차 성능평가 기준 마련 등이 골자였다. 하지만 제주도가 전기차 보급량만큼 제조업 등 관련 산업이 발달하지 않아 탈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1차 심의위에서 경북의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리사이클링'과 전남의 'e-모빌리티'가 규제자유특구로 확정되면서 기존 전기차 특구 계획에 대한 재조정이 불가피해졌다.

제주 '전기차 충전 서비스' 규제자유특구는 △충전시간 단축을 위한 충전 인프라 고도화 △점유 공간 최소화를 위한 이동형 충전 서비스 △활용성 증대를 위한 충전인프라 공유 플랫폼 △충전 데이터 기반의 전기차 특화 진단 서비스가 주 내용이다.

기존 충전 인프라를 활용한 충전 성능 향상과 최신 고용량 전기차에 대응한 고출력 인프라를 실증하고, 주차 공간 문제 해결을 위한 이동형 충전기를 실증하는 것이다. 특히 개인 소유 충전기의 유휴 시간을 활용해 충전 인프라 공유 플랫폼을 구축하고, 전문기업 위탁운영을 통한 수익모델을 창출도 모색하고 있다. 또 전기차 중고거래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배터리의 잔존가치를 포함해 충전 데이터 기반의 전기차 특화 진단 서비스 구축도 실증 특례에 포함된다.

■ 규제 해소 통한 실질적인 비즈니스 기회 제공

제주도는 올해 6월 말까지 전기차 민간보급 대수가 1만8714대로 전국 지자체별 전기차 보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 사업자 등록 기업 수도 12개로 수도권(서울 25개·경기 21개)을 제외한 광역 지자체 중 가장 많다. 충전 인프라도 전국 최고 수준이다. 6월 말을 기준으로 도내에는 1만4243기(개방형 2386기·개인용1만2035기)의 충전기가 갖춰져 있다.

제주도는 중기부 규제자유특구기획단의 2차 특구 선정을 위한 분과위 심의(10월)와 11월 국무총리 주재 특구위원회(11월)를 앞두고 지난 20일 '전기차 충전 서비스 특구' 지정 신청에 따른 공청회를 가졌다.


이날 공청회에는 특구 참가 사업자로 △더포그레이스호텔앤리조트 △동서이브이 △보타리에너지 △상명엔지니어링 △소프트베리 △오토플러스 △제주에너지공사 △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제주탑솔라 △지니 △지오라인 △진우소프트이노베이션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등 13개 기업도 참석했다.

문경삼 제주도 저탄소정책과장은 "2차 특구 선정의 핵심은 지역 연관성과 혁신성, 사업 완성도, 지역균형발전 측면을 종합적으로 보게 될 것"이라며 "민·관·산·학이 잘 협력해 특구 지정에 따른 실질적인 사업을 만들어 내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특구 지정을 충전 서비스 부분에 특화해 도전하되, 이를 토대로 향후 연관산업 육성으로도 특구 영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