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건강

"나 힘들어요"… '극단적 선택'10명 중 9명 위험신호 보냈다

정명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9.22 17:09

수정 2019.09.22 17:09

정부, 자살사망자 실태조사
84.5% 정신건강 관련 문제
직업·돈·가족관계 등 스트레스
평균 3.9개 복합적으로 영향
"자살위험 선별 확대방안 검토"
우리나라 자살률은 2003년 이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5년째 1위를 기록하는 등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자살사망자 92.3%가 사망 전 경고신호를 보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정부는 자살사망 분석을 통해 자살률을 낮추려 노력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에 의한 2018 자살실태조사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자살에 대한 국민태도조사는 전국 만 19세 이상 75세 이하 성인 1500명을 대상으로 대면조사로 실시됐다. 의료기관 방문 자살시도자 실태조사는 전국 38개 응급실을 방문한 자살시도자 1550명의 대면조사로 진행됐다.


자살사망자 1인당 평균 3.9개의 생애 스트레스 사건이 자살 과정에서 순차적 혹은 복합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사망자의 84.5%가 정신건강 관련 어려움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됐다. 또 직업관련 스트레스는 68.0%, 경제적 문제와 가족관련 문제는 각각 54.4%가 겪었을 것으로 확인됐다.

자살사망자의 92.3%가 사망 전 경고신호를 보냈다. 하지만 77%는 주변에서 경고신호라고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사망자 경고신호는 사망 3개월 이내의 근접 시점에 관찰된 비율이 높았다.

5년간 서울시 자살사망을 분석한 결과 발견지 기준 자살사망자 수는 노원구(617명)·강서구(571명)·강남구(566명) 순, 자살률은 영등포구(27.6명)·금천구(27.2명)·용산구(25.6명) 순으로 나타났다. 또 서울에서 발견된 자살사망자 중 9.2%(915명)는 서울시 외부에서 유입된 경우로 확인됐다.

재산이 적거나 줄어든 것이 자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사망 전년도 건강보험료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의료급여구간에 머물러 있었던 경우의 자살률이 가장 높았고(66.4명) 하위구간에서 의료급여구간으로 하락한 경우(58.3명), 중위구간에서 의료급여구간으로 하락한 경우(34.3명) 순으로 나타났다.
정신질환의 경우 자살사망자 수는 우울질환(2932명), 수면장애(2471명), 불안장애(1935명) 순으로 많았다. 또 자살률은 정신활성화 물질 사용장애(1326.4명), 성격장애(879.8명), 알코올 사용장애(677.8명)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 장영진 자살예방정책과장은 "의료급여 수급권자 등 저소득 취약계층의 자살위험이 높은 것이 확인돼 방문서비스를 활용해 자살위험 선별(스크리닝)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며 "1차의료기관 우울증 검진자 대상 자살위험 선별 시범사업에 대해 대상 질환 등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