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서초포럼

[여의나루] 기업·경제 살리는 국가적 제조혁신 전략

안삼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8.22 16:32

수정 2019.08.22 18:44

[여의나루] 기업·경제 살리는 국가적 제조혁신 전략
매년 4월에는 독일 하노버에서 세계 최대 산업박람회가 열린다. 올해도 연면적이 축구장 70여개에 달하는 거대한 27개의 전시관을 가득 메운 75개국의 6500여개 기업이 21만5000명의 전 세계 관람객을 대상으로 신제조업을 위한 첨단기술 경연을 펼쳤다. 며칠간 전시와 부대 행사를 둘러보며 제조업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 등 4차 산업혁명의 기술혁신이 만드는 신제조업의 세계 패권을 노리는 독일·미국·일본·중국 등 제조강국이자 강대국의 필사적 경쟁을 피부로 느낄 수 있었다.

그중에서도 독일이 '인더스트리 4.0'의 기치 아래 추진하고 있는 국가적 산업전략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이번 개막식에도 행정수반인 총리와 국내외 각계 인사들이 참석했고, 다음 날 행사에서 경제산업에너지부 장관과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등 정부·산업계·학계·연구계는 물론 노동계 리더들이 함께 참여해 명실공히 노사정 및 산학연관 협력으로 '인더스트리 4.0의 2030 비전'을 발표하고 토론하는 모습은 너무나 부러운 장면이 아닐 수 없었다. 세계 최고의 역량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미국·중국과의 신제조업 주도권 경쟁에서 독일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아직도 부족함이 많음을 자성하며, 유럽연합(EU)을 망라하는 산학연관 및 노사정 협력을 제시하고 토론하는 대목에서 독일의 신제조업 세계 패권을 향한 결기가 느껴졌다.


우리나라가 이 글로벌 경쟁 속에서 신제조업 강국으로 거듭나려면 무엇보다 제조업에 대한 정부는 물론 우리 사회 전체의 인식전환이 시급하다. 세계 제조강국들은 4차 산업혁명으로 제조업을 신제조업으로 진화·발전시키는 데 매진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제조업이 어려우니 신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이분법적 시각이 많다. 정부의 3대 신산업인 시스템반도체, 미래차, 바이오헬스도 제조업이 기반이다. 우리나라도 4차 산업혁명을 통해 제조업을 신제조업으로 진화·발전시키는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을 국가적 최우선 과제로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로 제품·서비스 혁신, 제품과 서비스 융합, 제품과 금융 융합, 토털솔루션화 등 다양한 비즈니스모델 혁신이 중요하다. 특히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시장 맞춤화·개인화, 서비스화 추세에 대응하는 제품 혁신이 시급하다. 비즈니스모델 혁신을 통해 제조업이 서비스산업을 포함한 전 산업과 융합, 거대한 신제조업으로 진화·발전하게 해야 한다. 둘째로 혁신된 비즈니스모델에 맞는 제조시스템 혁신이 필요하다. 현재 정부가 강력히 추진하는 스마트공장 정책도 비즈니스모델 혁신이 선행돼야 하고 현재의 공장 차원에서 회사 차원으로, 더 나아가 산업생태계 차원으로 관점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로 비즈니스모델과 제조시스템 혁신에 필수적 기술혁신을 위한 정부 연구개발(R&D) 투자 확대와 세제지원 등 민간기업 R&D 투자촉진 정책이 절실하다. 특히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로봇, 5G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적용 확산이 중요한데 이 역량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컨설팅, 교육, 테스트베드 등 지원기능 강화가 시급하다. 미·중, 한·일 갈등도 궁극적으로는 기술력 확보가 관건이다. 넷째로 인재양성의 시급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10만 전문인력 양성을 추진하고 있지만 가르칠 교수요원이 턱없이 부족한 현실이다.
독일과의 협력 등 현실적 인재양성 전략이 필요하다. 아울러 금융지원, 제조 생태계 활성화도 중요하다.


우리 미래를 건 국가적 제조혁신 전략의 강력한 추진을 기대한다. 다시 뛰자, 대한민국!

주영섭 前 중소기업청장·고려대 공학대학원 석좌교수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