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연내 수소차 6000대, 충전소 86곳 보급…수소경제 진입 원년

뉴스1

입력 2019.07.03 10:11

수정 2019.07.03 10:11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 오전 서울 여의도 수출입은행에서 2019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을 하고 있다. 2019.7.3/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 오전 서울 여의도 수출입은행에서 2019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을 하고 있다. 2019.7.3/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서울=뉴스1) 임해중 기자 = 정부가 올해 하반기를 수소경제 진입 분기점으로 정하고 수소전기차 보급 확대, 충전소 설치, 수소시범도시 운영 등 부문별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기존 수소경제 로드맵에 포함된 내용으로 정부는 이들 계획을 하반기 순차적으로 추진해 관련 일자리 창출 등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3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고 수소경제 로드맵을 우선 추진 과제로 정했다.

수소경제 진입의 첫발은 관련 제품을 많은 사람들이 경험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일이다.
현재 국내에서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한 차세대 제품은 현대자동차가 독자 개발한 넥쏘가 유일하다.

정부가 수소전기차 보급 확대를 수소경제 진입을 위한 과제 중 하나로 정한 것은 수요·공급 측면에서 선순환 구조를 갖추기 위해서다.

수소차 보급이 늘어나면 차량 가격은 자연스레 떨어진다. 이같은 선순환 구조가 마련되면 수소차 대중화는 물론 수소경제 진입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수소차 구매보조금 예산을 추경에 반영해 6395대 수준까지 늘릴 계획이다. 전년 130대와 비교하면 관련 예산 규모를 50배 이상 확대한다.

수소경제 진입의 대중화 성패여부는 차량 보급 확대와 함께 충전 인프라 구축이 좌우한다.

전기차 보급은 물론 충전소 확대를 병행해야한다는 의미인데 지금 여건으로는 기존 사업자가 인프라 확충에 진입할 유인이 낮다. 수소차가 아직은 많지 않다보니 충전소를 운영해도 사업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워서다.

정부가 수소충전소 확대에 직접 나선 이유다. 올해 목표는 충전소 86기 확보다. 2022년에는 전국 310곳까지 인프라를 확대할 예정이다. 충전소를 단기간에 확충하는 한편 수소차 보급까지 늘리면 에너지 사업자들이 인프라 운영에 참여할 유인이 확대된다. 이때부턴 차량 보급과 인프라 확대가 수급에 따라 원활하게 이뤄지는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하반기 중점 추진 과제로 정한 수소로드맵은 단순 지원을 넘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안된 정책"이라며 "수소경제 진입의 마중물 역할을 자처한 정부 추진 과제가 가시화되고 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상승효과를 검증하고자 수소경제시범도시 3곳가량의 선정·운영 계획을 내놨다는 점도 눈길이 간다. 수소차 대중화에 따른 선순환 구조가 수소경제 구현을 앞당길 수 있는지 검증하고 이를 전국적으로 확대하려는 사전작업이다. 정책지원의 비효율성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수소도시 후보지로는 울산 등이 거론된다. 울산은 수소차를 생산하는 현대차 공장이 위치했고 대규모 석유화학 단지를 끼고 있어 부생수소 수급에도 유리하다.
울산 외 후보지 역시 화학단지와 자동차 산업이 복합된 도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