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인터뷰] 조인동 서울시 경제정책실장 "서울, 혁신기술 시험하고 성장하는 무대 될 것"

안승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6.06 17:43

수정 2019.06.06 17:43

창업 지원 이끄는 조인동 서울시 경제정책실장
스타트업 가장 큰 난관 '기술실증'..市 테스트베드 정책으로 지원
[인터뷰] 조인동 서울시 경제정책실장 "서울, 혁신기술 시험하고 성장하는 무대 될 것"

올해 1·4분기 새롭게 탄생한 국내 기술창업 기업은 총 5만 9000여 개에 이른다.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대치다. 그러나 풍요속의 빈곤이다. 해외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자금력과 기술의 검증, 판로 등 어느 하나 여의치 않아서다.

지난 4월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런 현실을 반영하듯 '글로벌 창업도시 서울'을 선언하면서, 방대한 내용의 창업지원 정책을 발표 했다. 서울시가 혁신기업들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한달 뒤 이를 가다듬은 '테스트베드 서울' 정책을 발표 기술창업회사들에 대한 지원을 공식화했다. 서울의 모든 공공 인프라를 혁신기술의 테스트베드로 개방하고, 시가 가진 방대한 정보, 구매역량을 적극 활용해 창업기업을 지원한다는 이 사업의 핵심이다.

이런 혁신기술을 주도하는 중심에 조인동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사진)이 있다. 그는 연초 부터 박 시장이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서울시의 창업·경제정책을 최전선에서 이끌고 있는 사령관이다.

지난 5일 서울시 무교청사에서 만난 조실장은 혁신기술을 보유한 창업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서울시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자신감에 넘쳤다.

조 실장은 "테스트베드 정책은 스타트업들을 돕기 위한 정책이긴 하지만 시정에 직접 적용하는 것이기에 업체들이 준비할 내용이 많다"라며 "일단 이 사업에 참여 하려면 총 9단계의 기술성숙도에서 레벨6(시제품 제작가능) 단계에 도달해 있어야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래서인지 테스트베드 사업에 신청서를 낸 기업은 손에 꼽을 정도다. 테스트베드 사업은 지난 1년간 경제정책실에서 12개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거듭해 내놓은 결과물이다.

그는 "스타트업들이 자금·인재 문제를 해결하면 그 다음에는 모두 트랙레코드(이행실적)라는 난관에 봉착한다"며 "이행실적이 없으면 판매가 어렵고, 팔지 못하면 실적도 쌓을수 없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지는 것"이라며 기업실적이 부진한 배경을 밝혔다..

조 실장은 "큰 혁신기술을 개발하고도 초기시장 형성과 판로개척이 어려워 사업화가 진전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사업화에 성공하더라도 실제 판매·납품 실적 없이는 기존 시장의 진입장벽을 뚫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혁신기업이 가장 절실하게 생각하는 것이 안전성, 적용가능성 등을 검증할 수 있는 기술 실증과 매출 신장이라는 것이 그의 견해다.

테스트베드 사업에 채택된 기업의 제품·서비스는 최장 1년간 현장에서 실증의 기회를 얻게 된다.
담당부서에서는 제품을 사용하면서 성능과 이상 유무 등을 점검·기록하고 실증기간 종료 후 그 결과를 평가해 '성능확인서'를 발급해 줄 수 있다.

조 실장은 "'성능확인서'는 제품의 미흡한 점을 보완해 성능을 업그레이드하거나 향후 국내외 판로확대를 위한 근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사업은 혁신기술을 보유한 창업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동시에 대시민 행정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고 도시문제 해결 기술력을 높이는 기회가 될 것"라고 자신했다.

ahnman@fnnews.com 안승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