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기자수첩

[기자수첩] 짧았던 호황기, 허탈한 면세업계

조윤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5.16 17:19

수정 2019.05.16 17:19

[기자수첩] 짧았던 호황기, 허탈한 면세업계

정부가 서울과 광주, 인천에 신규 시내면세점 특허를 내주기로 하면서 면세업계 속내가 복잡하다. 대기업인 한화도 적자를 안고 면세점 사업을 철수한 열악한 시장 상황을 정부가 감안할 것으로 기대했기에 실망감과 혼란이 더욱 큰 분위기다.

"관광산업 활성화, 일자리 창출 등의 정부 정책방향에 따라 신규 특허가 추가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서울에서만 3곳을 늘릴 것이라고는 생각 못했다"는 한 업계 관계자 말에는 면세업계의 한숨이 깊게 묻어난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15일 대기업 기준으로 서울 3개, 인천 1개, 광주 1개의 신규 면세특허를 결정했다. 서울에서만 최대 3개의 시내면세점이 늘어나는데, 이 경우 서울 시내면세점은 총 16개가 된다. 현재 전국 시내면세점 수가 총 26개로 절반가량이 서울에 몰리는 셈이다.


면세업계는 패닉이다. 벌써 '엑소더스'가 시작됐다는 말도 돈다. 면세점 특허권을 반납하는 업체들이 줄지어 나올 것이라는 예상이다.

단순히 호들갑으로만 치부할 수도 없는 것이 역대 호황을 맞았다는 면세점의 내실은 악화일로다. 2015년만 해도 서울 시내 5개에 불과했던 것이 4년 만에 약 3배 규모로 불면서 짧았던 호황기는 끝났다. 롯데, 신라, 신세계 '빅3'는 버틸 만하지만 후발 주자들은 출혈경쟁에 피가 마를 판이다. 현대백화점면세점은 반 년 만에 쌓인 650억원 적자가 주력사업인 백화점까지 흔들고 SM면세점, 두타면세점, 동화면세점은 3년 만에 400억~700억대의 누적 손실만 쌓았다. 중국인 관광객이 대거 몰리는 동대문 소재 두타면세점의 부진 장기화는 후발 면세업계의 어려움을 절실히 보여준다.

이런 상황에 정부의 면세특허 추가는 후발 면세업체들에 야속할 수밖에 없다. 신규 특허 발표 직후 원성이 쏟아진 이유다.


면세점사업은 수년 전만 해도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릴 만큼 알짜사업이었다.

하지만 최근처럼 정부가 과열경쟁을 부추기는 것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의 배를 가르는 것과 같다는 게 업계 하소연이다.
면세점 간 경쟁도 좋지만, 공멸하지 않는 면세시장 경영환경도 필요하다.

yjjoe@fnnews.com 조윤주 생활경제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