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북한

北 대남기구 통일전선부·조평통 개편…남북대화 양상도 바뀌나

뉴스1

입력 2019.04.29 11:42

수정 2019.04.29 11:42

지난해 9월 19일 평양 정상회담을 계기로 방북한 문재인 대통령(왼쪽)이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가운데)과 악수하고 있다. 2018.9.19/뉴스1 © News1 평양사진공동취재단
지난해 9월 19일 평양 정상회담을 계기로 방북한 문재인 대통령(왼쪽)이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가운데)과 악수하고 있다. 2018.9.19/뉴스1 © News1 평양사진공동취재단

지난해 12월 26일 북한 개성 판문역에서 열린 남북 동서해선 철도, 도로 연결 및 현대화 착공식에 참석한 북한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왼쪽)이 조명균 당시 통일부 장관과 악수하고 있다.2018.12.26/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지난해 12월 26일 북한 개성 판문역에서 열린 남북 동서해선 철도, 도로 연결 및 현대화 착공식에 참석한 북한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왼쪽)이 조명균 당시 통일부 장관과 악수하고 있다.2018.12.26/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대남 기구 조직·인적 개편 정황…남북 대화 재개 시점도 불투명

(서울=뉴스1) 서재준 기자 = 북한의 이른바 '대남' 업무를 관장하던 기구들의 조직 및 인적 개편 정황이 이어지며 남북 간 대화 채널에도 변동이 있을지 주목된다.

북한은 지난 11일 최고인민회의 제14기 대의원 첫 회의를 계기로 내각 주요 조직 등에 대한 인선을 단행했다.


당시 북한은 유임된 내각 조직의 수장과 교체된 수장의 이름을 모두 언급했는데, 유독 대남 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의 조직명과 수장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았다.

이를 두고 북한이 내각 산하로 운영하던 조평통을 국무위원회 산하로 옮겼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조평통은 문재인 정부 들어 남북 고위급 대화의 채널로 운용돼 왔다. 리선권 위원장과 우리 측 통일부 장관이 고위급 회담의 수석대표로 나서 지난 1년여간 정상회담과 별도로 실무급 대화를 진행해 왔다.

조평통은 그러나 지난 2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위상에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내각에서 국무위원회 산하로 이동했다면 입지가 강화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내각 산하에서 김정은 본인이 직접 위원장을 맡고 있는 국무위원회 산하 조직이 됐을 경우 쉽게 말해 최고지도자의 직접 지시를 받는 조직이 된 셈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운데 조평통은 지난 25일 대변인 담화를 통해 우리 측을 비난하는 행보를 보였다. 일단 조평통이라는 조직과 그 기능에는 변화가 없음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다만 지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회의에서 기구의 이름과 수장이 호명되지 않은 배경은 여전히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과거 노동당 통일전선부(통전부) 산하 조직이었던 조평통이 다시 통전부 소속이 됐을 가능성도 제기한다.

공교롭게도 비핵화 협상 국면에서 북한의 '2인자'라는 평가까지 받았던 김영철 통전부장이 최근 다른 인물로 교체된 것이 확인되기도 했다.

새로 통전부장이 된 인사는 장금철로, 그는 통전부에서 계속 활동하며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위원도 겸임했던 인사로 파악된다. 대남 교류 협력 사업에서도 일한 경험이 있는 인사로 전해졌다.

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정치국 위원 등 노동당의 고위직을 유지하며 비핵화 협상에서 발을 뺀 김영철의 '퇴진'이 비록 징계나 처벌의 수위는 아니더라도, 통전부의 기능 변화를 시사하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복수의 전문가들은 김영철이 이른바 '전통적' 통전부 출신 인사는 아니라는 점에서 비핵화 협상 국면에서 북한이 통전부를 중심으로 '비상 조직'을 꾸려온 것이라는 평가도 한다.

지난 1년 간 전통적 북핵 채널인 외무성이 아니라 대남 채널을 겸한 통일전선부가 비핵화 협상을 주도한 것은 북한이 비핵화 협상을 남북미 3자 간 대화를 통해 진행하겠다는 전략을 추진했던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런 맥락에서는 이번 개편으로 통전부와 조평통 등 대남 기구는 '축소' 보다는 '제자리'를 찾은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과거 '통(통일부)-통(통전부)'라는 말까지 낳을 정도로 대남 사업에 주력했던 통전부의 역할이 '비핵화 협상' 자체에서 '비핵화 협상 과정에서의 남북 교류 확대'로 재조정됐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북한은 아직 통전부와 조평통의 내부 인적 개편을 마무리하지 못한 정황이 포착되기도 한다.

조평통 위원장이던 리선권은 최고인민회의 외교위원회 위원에 유임됐으며 지난 3월 대의원에도 선출됐다. 군부 출신으로 이른바 '김영철 라인'으로 분류됐던 그도 정치적 입지에 큰 변화가 없어 보인다.

다만 개성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북측 소장이던 전종수 조평통 부위원장과, 소장 대리였던 황충성 조평통 부장은 지난 2월 하노이 회담 이후 보이지 않고 있다.

북미 비핵화 협상에 실무팀으로 활약하던 김성혜 통일전선부 통일책략실장도 하노이 회담 이후 공식 석상에서 자취를 감췄다.


대남 기구의 개편은 남북 고위급 대화 채널에도 직접적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정부도 관련 동향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29일 "북측에서 공개적으로 조직 및 인적 개편 등에 대한 발표 혹은 보도를 하기 전에 정부가 섣불리 판단하긴 어렵다"라고 말했다.


이상민 통일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하노이 정상회담 이후 남북 간 기존 합의 이행 등이 주춤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남북 공동선언의 이행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입장에 변화가 없다"라고 말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