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행정·지자체

[국회 혁신 시리즈 정치 혁신만이 답이다]김영란법에서 빠진 ‘이해충돌 방지’… 제도적 구멍 메워야

심형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2.21 17:37

수정 2019.02.21 17:37

(上) 국회의원, ‘특권’부터 내려놓자
4년 전 국회 논의서 빠진 채 통과..사익취득 관련 예방장치 만들어야
혁신자문위 7개 조항 개혁안 제안..특활비·해외출장 등 투명성 강화도
20대 국회의 부끄러운 민낯이 드러났다. 피감기관 비용을 통한 해외출장 논란·특활비 유용 논란·재산 증식 등을 둘러싼 이해충돌의 문제가 연초까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면서 역대 최악의 국회라는 오명을 남기게 생겼다. 국회가 이처럼 땅에 떨어진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고 제 몫을 다 하도록 내부 개혁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행정부 견제를 위해선 스스로 썩은 부위를 도려내고 환골탈태해야 한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이에 파이낸셜뉴스가 2019년 새해를 맞아 3회에 걸쳐 국회 개혁 방안을 모색해봤다.
[국회 혁신 시리즈 정치 혁신만이 답이다]김영란법에서 빠진 ‘이해충돌 방지’… 제도적 구멍 메워야

입법부가 추락한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고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선 개선해야 할 점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우선 지적되는 것은 국회의원의 특권 폐지다.

과거에도 국회 의원은 고속철도인 KTX를 포함,국유철도·선박·항공기 등의 일등석을 무료이용하거나 공항·철도역 등의 귀빈실 이용 등이 논란이 되면서 겉으로 드러난 특권은 대부분폐지를 했다.

그러나 여전히 이해충돌 조항들을 놓고 국민적 눈높이에 맞게 기준을 대폭 강화하는 등의 과제로 남아 있다.

이해충돌의 문제는 의원 개개인의 부적절한 재산 변동을 막을 장치로 불린다.

그런 만큼 투명성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이해충돌 조항 손봐야

연초 정국을 뜨겁게 달궜던 무소속 손혜원 의원의 목포 부동산 투기 의혹 , 송언석 자유힌국당 의원의 가족 소유 건물 주소지 개발 요구 의혹 논란 등은 모두 국회의원 '이해충돌'의 제도개선이 얼마나 시급하게 필요한지를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이해충돌이란 공직자의 직무 수행시 사적 이해관계가 관련되어 공정 업무 수행이 저해될 수 있는 요인을 말한다.

이해충돌 방지와 근절의 문제가 국회에서 여전히 도마위에 오른 건 4년 전 국회를 통과한 이른바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과도 관련이 깊다. 당시 법안 논의 과정에서 국회 상임위의 반대로 의원들의 '이해충돌 조항'들은 대부분 빠지고 '반쪽짜리 법안'만 통과된 탓이다.

손혜원 의원 투기 의혹 논란 뒤 여야 의원들을 중심으로 모두 8건의 법안이 발의된 상태다. 박영선 민주당 의원은 예산안·법안 심의 과정의 이해충돌 사전 방지를 위해 상임위 배정을 제한하는 공직자윤리법·국회법 개정안 등을 내놨다. 정동영 민주평화당 의원은 상임위 활동과 관련한 영리행위·사적 이익 추구 근절 방안이 골자다. 다른 법안들도 직무연관 사적 이해 충돌 방지에 초점을 맞췄다. 김영란법에서 그동안 빠졌던 이해충돌 방지 대책을 마련한 것이다.

국회의장 산하 국회 혁신자문위원회도 오는 22일 관련 내용을 담은 자체 개혁안을 문희상 의장에게 보고할 계획이다.

7개 핵심 내용 가운데 △직무 관련자와의 거래 제한 △소속 공공기관 등에 가족 채용 제한 △직무상 비밀 이용 금지 등이 눈에 띤다. 애초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이해충돌 방지 조항 지난 2015년 김영란법 초안에는 있었으나 여야 논의과정에서 모두 빠졌다.

■특권, 권위주의 청산 시급

이해충돌에 대한 명확한 기준 마련으로 공적 지위를 남용해 사익을 취득하는 행위를 막자는 것 외에도 손 보아야 할 국회의원들의 특권은 곳곳에 남아 있다.

지난해 논란이 된 국회 특수활동비와 업무추진비 그리고 연구용역비 등이 그동안 일부가 '눈먼 돈'으로 사용된 사례가 드러난 만큼 투명성 강화도 필요해 보인다.

심지연 국회 혁신자문위원장은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관혼상제가 있는데 정치에도 차지하는 비중이 여전히 크다"며 "이런 꼭 필요한 비용은 인정을 하고 일부 사적 용도로 사용한 것을 막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제도 개선도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3월 국회의원 재산공개에선 10명 가운데 4명이 부모와 자녀, 손자·손녀 등의 재산은 '독립생계 유지'를 이유로 고지거부했다. 그러나 고지거부는 가족을 통한 재산 숨기기 등으로 악용되기도 하는 만큼 제도를 손질해 신뢰성을 보다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국회의원 시절 피감기관의 돈으로 해외 출장을 갔다는 의혹을 받은 김기식 전 금융감독위원장이 부임직후에 논란이 커지자 사퇴한 일을 계기로 국회의원 해외출장 문제도 투명성 강화가 요구되고 있는 사안으로 떠올랐다.


고위공직자의 재산 투명성 강화를 위해 마련된 주식·부동산 백지신탁제도도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무소속 손혜원 의원 주식을 백지신탁한 법인 크로스포인트가 목포 땅을 구매한 문제 등은 법적으로 처벌할 방법이 없다는 점이 논란이 되고 있어서다.


국회 혁신위는 조만간 발표될 2차 혁신안에 특권 폐지의 일환으로 국회 내 친목단체나 각종 파견기관이 사용하고 있는 점유공간도 사용도 퇴거를 권고하는 내용도 포함할 방침이다.

cerju@fnnews.com 심형준 박지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