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무너지는 3040] '위기의 가장들' 일자리 줄고 소득보다 빚이 더 빨리 늘었다

정지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2.19 17:43

수정 2019.02.20 09:10

1월 취업자수 중장년층 급감..30∼40대서 29만2천명 줄어
40대는 1991년 이후 최대 낙폭..가처분소득 대비 부채비율 증가
원리금 상환액은 29% 달해
[무너지는 3040] '위기의 가장들' 일자리 줄고 소득보다 빚이 더 빨리 늘었다

[무너지는 3040] '위기의 가장들' 일자리 줄고 소득보다 빚이 더 빨리 늘었다

한국 경제의 주춧돌인 30~40대 중장년층 남성이 고용시장에서 다시 설자리를 잃고 있다. 40대 후반은 대학 졸업 즈음 터졌던 외환위기(IMF 관리체제)를 이겨냈다. 30대 중·후반은 사회생활에 적응할 무렵에 불거진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했지만 이제는 고용참사가 어깨를 짓누르는 것이다.

30~40대 중장년층의 취업자 증가 수는 매년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실업자 수, 실업률은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여기다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30~40대 가구주의 소득이나 가처분소득에 대비해 부채비율은 높아지고 있다. 벌어서 쓸 수 있는 돈보다 빚 증가 속도가 빠르다는 의미다.


19일 통계청의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전년동월 대비 취업자 수는 30~40대에서 감소폭이 가장 컸다. 30대는 12만6000명, 40대는 16만6000명이 줄었는데 각각 2009년 12월 15만1000명, 1991년 12월 25만9000명 이후 최대 낙폭이다.

하지만 정작 정부의 고용정책은 30~40대까지 미치지 못한다. 일자리정책 대부분은 청년과 실버(노인), 여성 등에 집중돼 있어 정작 경제현장을 지탱하는 주력 연령대인 남성 중장년층은 소외되는 모양새다.

실제 정부가 올해 직접일자리예산으로 편성한 3조8000억원 가운데 30~40대 남성을 위한 예산은 없다. 직접일자리예산은 노인, 여성, 장애인, 신중년 등에 전액 쓰인다. 전체 일자리예산 22조9000억원 중에도 30~40대의 일자리 근심을 덜어줄 정책자금은 찾기 힘들다. 제조업 등이 활성화되면 이들의 일자리도 늘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수준이다. 남성 중장년층이 일자리에서 밀려나면서 가정경제도 흔들리고 있다. 시대가 변했어도 30~40대 남성 상당수는 여전히 집안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가장이다.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보면 지난해 30대 가구주 가운데 74.7%가 부채가 있고 평균금액은 7873만원으로 집계됐다. 자산이 3억1059만원이기 때문에 소득 대비 부채비율은 25.3%가 된다. 부채비율은 전년도 24.0%와 견줘 1.3%포인트 상승했다. 40대 가구주는 75.5%가 평균 9896만원을 빚지고 있었다. 부채비율은 22.3%로 1년 전인 21.7%와 비교해 0.5%포인트 높아졌다.

가계가 맘대로 소비나 저축할 수 있는 가계처분가능소득에 비해 부채비율이나 원리금 상환액 비율이 얼마나 증감했는지를 보면 심각성은 더 뚜렷하다.

2017년 기준 30대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부채비율은 173.9%, 원리금 상환액 비율은 29%로 분석됐다. 40대는 각각 187.9%, 28.5%였다. 1년 전보다 30대 부채비율은 17.2%포인트, 원리금 상환액 비율 2.2%포인트, 40대는 부채비율은 13.8%포인트 각각 상승하고 원리금 상환액 비율은 0.2%포인트 하락했다.

이 같은 가정경제 불안은 가계소비 위축과 내수부진을 불러오고 결국 국가 경기침체로 이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소득증대를 통해 포용성장을 달성하겠다는 정부의 경제정책 이론과도 반대 흐름이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경기둔화, 인구감소 등 다른 요인을 감안하더라도 정부가 단기간 일자리지표를 개선하기 위해 편향적 지원정책을 펴고 있다고 진단한다.
양질의 일자리 등 정부가 본질적으로 접근하지 않으면 상당히 심각한 문제를 직면할 것이라는 경고도 뒤따른다. 이런 불평등이 계속되면 연령 간 일자리 갈등이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 역시 나온다.


윤창현 서울시립대 교수는 “30~40대 남성 일자리 개념도 심각해지고 있다”며 “보조적으로 실업금여 등을 줄 수 도 있겠으나 제대로 된 일자리를 만들도록 기업들을 유도하는 등 본질적인 접근을 하지 않으면 상당히 심각한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