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fn스트리트

[fn스트리트] 한국형 인공태양

구본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2.17 17:07

수정 2019.02.17 17:07

모든 에너지원은 장단점이 있다. 화력발전은 미세먼지와 탄소 배출이 약점이다.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원 대부분은 경제성이 낮은데다 기대와 달리 환경을 파괴하는 역설도 빚고 있다. 핵분열 에너지를 이용한 원전은 효율성은 높지만, 방사능 유출에 대한 우려나 폐기물 처리라는 숙제를 풀어야 한다.

기존 에너지원의 약점을 최소화하려는 시도가 핵융합발전이다. 바닷물 속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연료로 탄소도, 핵폐기물도 배출하지 않는다.
봉준호 감독이 '설국열차'에서 이를 선보였다. 다만 수소가스를 초고온 플라스마 상태로 만들어 핵융합을 일으키는 방식이 상용화되려면 갈 길은 멀다. 플라스마는 지구에서도 번개나 오로라처럼 자연 상태에서 관찰할 순 있다. 하지만 태양과 달리 핵융합에 적합한 섭씨 1억5000만도에 이르는 플라스마를 구현해 안정적으로 유지하기가 쉽지 않은 게 문제다.

'인공태양'을 만들려는 꿈에 한국이 한 발짝 다가섰다. 지난주 국가핵융합연구소는 핵융합 발전을 위한 연구장치인 케이스타(KSTAR)가 중심 이온 온도 1억도 이상의 초고온 플라스마를 1.5초 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초전도 토카막 핵융합 장치로는 사실상 세계 최초다. 중국과학원 플라스마 물리연구소도 지난해 11월 자국 핵융합 실험로인 EAST를 활용해 1억도 실험에 성공했다. 하지만 당시 핵융합의 비핵심 요소인 전자온도를 올린 것에 그쳤었다.

4차 산업혁명기에는 전기 수요도 급증한다. 하지만 우리의 에너지 수급대책은 화전과 원전, 그리고 재생에너지 사이에서 길을 잃은 느낌이다. 올해 한전의 적자가 2조4000억원대로 예상되면서 산업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전기료 인상설이 솔솔 새어나온다.
한국형 인공태양의 상용화는 이런 수렁에서 헤어날 수 있는 디딤돌이다. 그런데도 성급한 탈원전의 여파로 대학의 핵융합 전문가 양성이 차질을 빚고 있다.
정부가 핵융합발전의 '퍼스트 무버' 입지를 굳힐 인적·물적 투자에 적극성을 보일 때다.

kby777@fnnews.com 구본영 논설위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