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차관칼럼

[차관칼럼] 지역경제 활성화 해법 '스마트공장'

파이낸셜뉴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2.10 16:09

수정 2019.02.10 16:09

[차관칼럼] 지역경제 활성화 해법 '스마트공장'

최근 현장을 방문해 보면 지역 경제가 힘들다는 것을 느낀다. 우리 경제의 근간인 제조업이 글로벌 장기불황, 후발국과의 기술격차 축소 등으로 활력을 잃으면서 지역 오피스텔, 식당, 심지어는 동네 슈퍼와 같은 자영업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담당하는 부처 차관으로서 막중한 책임을 느낀다.

지역의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답은 나와 있다. 제조업 혁신이다. 공장이 돌아야 사람이 모이고, 식당과 슈퍼에 손님이 다시 찾아와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는 것이다.


세계적으로도 제조업을 다시 일으키기 위한 혁신경쟁이 한창이다. 독일은 인더스트리 4.0, 일본은 소사이어티 5.0, 중국은 제조 2025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으로 생산 과정을 컨트롤하고 개선해 나가는 스마트공장 도입을 통해 생산성과 제품 질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우리도 2014년부터 스마트공장 확산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까지 7800개 공장이 스마트공장으로 전환됐다. 이를 통해 생산성이 30% 증가하고, 불량률은 4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체계적인 생산 데이터 관리가 해외 고객의 신뢰를 얻는 계기가 돼 수출이 증가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얼마 전 경기 시흥에 있는 밸브 제조업체를 방문했다. 이 업체는 고객사가 요구하는 생산공정 데이터를 제공하지 못해 거래가 끊어진 적이 있다고 했다. 스마트공장을 도입하면서 제품의 생산이력과 품질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게 됐고 해외 바이어에게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거래가 재개되고, 신규 고객을 확보하면서 수출은 25배나 늘어났다.

높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스마트공장에 대한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기업은 수요에 비해 정부 지원이 부족하고, 막상 구축하려고 해도 정보를 얻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근로자는 일자리를 잃을까봐 걱정이다.

정부는 이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지난해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을 수립했다. 올해부터는 지자체, 대기업과 함께 차근차근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앞으로 스마트공장 구축을 희망하는 기업은 모두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공장 보급목표를 당초 2022년 2만개에게 3만개로 상향했다. 올해에만 4000개를 보급한다. 중소기업 부담 완화를 위해 지원금도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2배 확대한다. 지역 스마트공장 보급업무를 전담하는 '제조혁신센터'를 전국 19개 테크노파크에 설치할 계획이다. 제조혁신센터는 스마트공장 보급뿐 아니라 교육, 컨설팅, 사후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게 된다.

스마트공장에서는 일자리가 평균 2.2명씩 늘어났다. 산업재해도 22% 줄어 근로자에게 더욱 안전한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 이런 스마트공장의 장점을 더욱 강화하고 홍보해 나갈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스마트공장을 만들었던 세계 최고 수준의 대기업들이 있다.
우수한 정보통신기술(ICT)과 뛰어난 인재들도 있다. 스마트공장을 조기에 확산해 제조업을 부흥시킬 수 있다고 확신한다.
제조업이 다시 살아나면 지역 경제도 반드시 활력을 되찾을 것이다.

김학도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