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fn선임기자의 경제노트]축 처진 수출 '신남방'서 활로 연다

김성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1.25 17:49

수정 2019.01.25 17:49

코트라 무역관 개설·무협 비즈니스연합회 출범, 기업 진출 교두보 강화
세계 신흥경제권 주역 '아세안·인도 경제협력 확대' 거대 성장동력 육성
[fn선임기자의 경제노트]축 처진 수출 '신남방'서 활로 연다


연초부터 신남방 국가에 쏠리는 눈길이 뜨겁다. 신남방 국가는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소속 10개국인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브루나이,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와 인도를 말한다. 이들 국가들과의 협력 관계를 한반도 주변 4강(미·중·일·러) 수준으로 발전시키고자 하는게 '신남방 정책'이다.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017년 11월 동남아시아 최대 경제국인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에서 신남방정책을 전격 선언한 뒤, 정부와 재계는 앞다투어 신남방 국가 진출에 정성을 쏟고 있다.

베트남 무역관 추가 개설·무협 민관 손잡은 연합체 출범
25일 정부와 재계에 따르면 '신남방 정책' 3년차인 올해 들어 가장 먼저 포문을 연 곳은 코트라(KOTRA)다. 코트라는 이달 20일 베트남 3번째 무역관을 다닝에 개설했다.
코트라는 신남방정책 핵심국가이자 다수 한국기업이 진출한 베트남 수출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다낭을 선택했다.

다낭무역관이 관할하는 베트남 중부에는 두산중공업, 팬코 등 50여개의 우리나라 제조업체들이 상주해 있다. 중부지역은 베트남 정부의 육성 정책, 다른 지역보다 낮은 인건비와 토지가격 등 장점을 보유하고 있어 한국기업 진출 확대가 예상되는 지역으로 손꼽힌다.

이어 지난 24일에는 경제단체, 공공지원 기관 등 21개 민관 단체로 구성된 신남방 비즈니스 연합회가 출범식을 열었다. 신남방 진출 지원 협의체의 필요성은 지난해 말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산하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위원장 김현철 청와대 보좌관)가 개최한 대기업, 중소·중견기업 간담회 등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신남방정책특위의 지원으로 출범한 연합회는 앞으로 반기별 전체회의와 분기별 실무회의를 통해 신남방 진출 기업 간 협업을 늘리고 국가별 맞춤형 정책을 수립하는 소통 창구역할을 하게 된다.

우선 올해 말 개최되는 '한-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특별정상회의'와 연계해 동남아 신흥 유망기업들과 함께 전자상거래, 모바일 비즈니스, 스마트 모빌리티(이동성) 등 디지털경제 분야의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 '신남방 디지털경제 국제포럼(가칭)'을 연합회 주도로 개최할 예정이다.

연합회는 초대 회장에는 김영주 현 무역협회장을 추대하고, 공동 간사기관인 코트라는 연합회 출범을 계기로 아세안 진출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을 위한 '아세안 데스크(ASEAN DESK)'를 상반기 중 신설해 운영할 계획이다.

이처럼 대표적 양대 수출 지원기관인 무역협회와 코트라가 민관관체들에 앞장서 손잡고 동남아시아 시장을 적극 공략키로 나서 재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정국 '쏠림현상'·한반도 4강중심 외교 탈피 다변화 기대
그렇다면 왜 하필 신남방국가일까. 직접적인 계기로 거슬러 올라가자면, 사드배치를 이유로 중국의 일방적인 보복으로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본 최근의 경험을 들 수 있다. 특정국가와 정치·외교적, 경제적으로 과도하게 영향받는 관계를 다시금 반성하게 만들었다. 더불어 세계 신흥경제의 주역으로 떠오르고 있는 아세안 및 인도와의 경제협력을 강화해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모색할 필요도 커졌다.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 비중은 25%, 대미 수출 비중은 12%로 두 나라 모두 합쳐 37%에 이른다. 두 나라의 무역전쟁이 장기화된다면 우리 경제에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하다. 두 나라의 수출의존도를 줄일 현실적인 대안이 신남방 정책의 핵심과제중 하나인 셈이다.실제로 지난해 한·아세안 교역액은 1600억달러로 추산되며 오는 2020년에는 2000억달러 돌파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한·중교역액 2400억원을 바짝 추격하는 수준이다.

지난해 한국과 인도의 교역액 역시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양국 간 수출·수입을 합한 교역액(잠정치)은 215억 달러로 역대 최대치인 2011년 205억 5000만 달러를 훌쩍 뛰어 넘었다. 한국의 대 인도 수출액은 156억 2000만 달러로 역시 역대 최대치였으며, 대 인도 수입액은 58억 9000만 달러로 2014년 이후 4년 만에 50억 달러대로 다시 올라섰다.


국립외교원 최원기 교수는 "신남방정책은 경제 분야 뿐만 아니라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우리의 노력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와 이해를 넓히기 위한 외교다변화 전략으로서의 의미도 크다"고 밝혔다.

win5858@fnnews.com 김성원 산업·경제 선임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