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금융권 파업, 이대로 괜찮나] 로봇은행원 출현에도 혁신 뒷전…'밥그릇 챙기기'만 골몰

박지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1.10 18:09

수정 2019.01.10 18:09

<중> 사사건건 발목잡는 금융노조… 시대흐름 못 �i아가
디지털화로 인력 재훈련 시급한데 임단협·CEO 선임·노동이사제 등 경영이슈마다 관여해 대립각 세워
국민銀 파업 여파로 직원인사 연기..KB금융 상반기 그룹 워크숍 차질도..노사 힘합치지 못하면 공멸 불가피
[금융권 파업, 이대로 괜찮나] 로봇은행원 출현에도 혁신 뒷전…'밥그릇 챙기기'만 골몰

금융권 노조가 임금단체협상뿐만 아니라 최고경영자(CEO)선임, 노동이사제 도입까지 시도하는 등 경영전반에 관여하면서 하나의 권력으로 부상하고있다.

특히 올해는 4차산업혁명에 대비해 숨가쁘게 움직여야하는 시기인만큼 '노사갈등'의 늪에 빠져 허우적거리고 있는 현 상황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갈길 바쁜데 파업에 발목

9일 금융권에 따르면 파업국면에 접어든 KB국민은행은 현재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하면서, 올초 예정됐던 PG(파트너십그룹)장 인사를 비롯 직원 인사도 연기됐다.

당장 임단협 타결이 안되면서 희망퇴직도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농협은행. 신한은행을 비롯 타 은행들은 이미 경영 효율화 수단으로 희망퇴직을 진행 중인 것과 대비된다. KB금융지주도 연초 주요 계열사 CEO와 임원들이 참여해 올해 경영계획을 확정하고 전략을 논의하는 '상반기 그룹 경영진 워크숍' 일정을 아직 잡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는 연초에 열렸지만, 이번에는 파업 때문에 중순께로 일정이 미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연초 인사를 빨리 마무리하고 영업에 박차를 가해서 리딩뱅크를 유지해야하는 상황인데 파업때문에 일정부분 차질을 빚고 있어 우려되는 것이 사실"이라고 전했다. 특히 파업이 3월까지 추가파업이 예고돼 있어, 파업국면이 장기회될 경우 1·4분기 영업은 물론 올해 경영목표 달성에 차질이 우려된다.

노조리스크는 이미 지난해부터 부각됐다.

금융권 노조들은 CEO선임을 비롯 다양한 이슈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며 사측과 갈등을 빚고 있다. 지난해 금융지주 회장 선임과정에서 KB금융과 하나금융노조는 회장 퇴진을 요구한 바 있으며, 채용비리 혐의에 대한 재수사를 촉구하며 대립각을 세웠다. 하나은행 노조도 지난해 김정태 회장의 사퇴를 요구하며, 임단협이 미뤄진 바 있으며 이후 외환은행-하나은행의 제도통합 이슈 논의도 늦어지면서 아직까지 해결하지 못한 과제로 남아았다.

국민은행 파업이 마무리된다해도 주총에서 다시 한번 '노동이사제'가 이슈로 불거질 전망이다. 지난해 국민은행 노조는 사외이사 후보를 추천했지만 주총 표 대결에서 밀려 부결된 바 있다. 올해도 KB뿐 아니라 신한 등 다른 금융 노조 역시 사외이사 후보 추천을 준비하고 있다.

노사 갈등이 고조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투쟁과정에서 나온 무차별적인 폭로나 흠집내기가 은행의 신뢰도 실추로 이어지는 것을 피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스스로 조직 이미지를 훼손하며 제 얼굴의 침뱉기 양상으로 흘러가는 경우가 많다"면서 "은행업의 특성상 한번 무너진 신뢰도를 다시 쌓는데까지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유념해야한다"고 지적했다.

■4차산업혁명으로 급변

무엇보다 금융권은 4차산업혁명 도래에 따른 금융 생태계변화로 인한 일자리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대표적인 산업이라는 점을 유념해야한다는 지적이다.

중장기적으로는 금융생태계 변화로 인한 각종 노동이슈들이 불거질 것이 자명한데 과거에 집착해 에너지를 소진하기보다는 중장기적으로 미래에 대비할 방안을 강구해야한다는 것이다.
금융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은행원 10명 중 6명은 앞으로 7~12년 안에 로봇과 인공지능(AI)이 업무를 대신하는 시대가 닥칠 것으로 내다봤다. 금융권의 디지털화가 급속도로 이뤄지면서 점포 수는 줄고 짐을 싸는 은행원이 늘고 있는 가운데 아예 일자리가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4차산업혁명에 대비해 기존 금융권 인력들의 재훈련 등에 대해 시급히 논의해야 하는 상황에서 노조가 기득권 강화 측면의 주장만 지속한다면 국내 금융권의 4차산업혁명은 요원하다"면서 "중국 등 경쟁국에선 이미 금융혁신에 대비해 힘을 모아 질주하고 있는데 머리를 맞대야하는 상황에서 갈등만 지속되면 공멸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aber@fnnews.com 박지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