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외교/통일

2차북미회담 조기개최 '청신호'..비핵화 다시 급물살

강중모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1.07 15:55

수정 2019.01.07 15:55

트럼프 "정상회담 장소 발표"..北과 물밑접촉 시사해
北 배려해 아시아권 개최·올 1분기 내 개최 가능성 커
영변핵시설 對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 '딜'이뤄지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기자들과 만나 "제2차 북미정상회담의 개최지가 곧 발표될 것"이라면서 북미대화가 답보상태에서 벗어나 다시 비핵화 국면으로 돌아갈 수 있음을 시사했다.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기자들과 만나 "제2차 북미정상회담의 개최지가 곧 발표될 것"이라면서 북미대화가 답보상태에서 벗어나 다시 비핵화 국면으로 돌아갈 수 있음을 시사했다.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제2차 북미정상회담 장소가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지난해 11월 초 상호간 입장차가 극대화되면서 교착상태에 빠진 북미대화가 다시 조속히 복원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장소는 아시아?..시기는 2월 전후 유력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일 신년사에서 "미 대통령을 만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히고, 트럼프 대통령이 "정상회담의 장소가 발표될 것"이라는 발언을 하는 등 북미간 물밑접촉을 시사하면서 남북미 관계는 다시 급물살을 타 대화국면 재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미 의회와 언론 등 미국 내 여론이 북한 비핵화를 비관적으로 바라보고 있지만 북미정상이 '탑-다운' 방식으로 돌파구를 찾을 여건이 조성되고 있는 셈이다.
다만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대북제재는 유효하며, 확실한 증거를 얻을 때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6월 12일 역사적인 사상 첫 북미정상회담은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만큼 비핵화에 대한 전환을 이룰 것으로 기대되는 제2차 북미정상회담도 아시아에서 펼쳐질 가능성이 높다. 현재 비무장지대(DMZ), 몽골,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이 후보지로 꼽히고 있다.

지난달 트럼프 대통령은 "항공기 비행거리 내에 있는 후보지 3곳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는 김 위원장의 전용기 참매1호(IL-62)의 이동거리를 염두에 둔 말로 풀이되며, 전용기의 최대 항속거리 9200km와 넉넉한 왕복거리를 고려해도 아시아권에서 개최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전용기인 참매1호(IL-62M)의 모습. 최대 항속거리는 9200km로 넉넉한 왕복거리를 고려하면 4000km 이상은 편도로 비행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전용기인 참매1호(IL-62M)의 모습. 최대 항속거리는 9200km로 넉넉한 왕복거리를 고려하면 4000km 이상은 편도로 비행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연합뉴스
물망에 오른 후보지들 중에서 베트남이 회담장소로 낙점될 가능성이 높다. 베트남은 사회주의 국가로 북한의 우방국이고 대사관이 있어 김 의원장의 경호·의전 준비에도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 베트남은 지난해 북미정상회담때도 자국 개최에 관심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앞으로 북미간 실무급 회담이 이뤄질 경우 제2차 북미정상회담의 경우 빠르면 1~2월께 늦어도 1분기 내로 회담이 개최될 가능성이 커진 상태다.

비핵화 논의도 가속도 붙나
2차 북미정상회담의 개최 가능성이 커진 만큼 미국과 북한이 물밑 접촉을 통해 실질적 비핵화 조치와 이에 따른 상응조치에 대해 합의점을 도출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상회담 후 북미가 전 세계에 보여줄 확실한 '그림', 대가에 대한 공감대를 이미 얻었다는 것이다.

김현욱 국립외교원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에게서 장소 물색·발표 이야기가 나온 것을 보면 북미의 사전교감이 상당부분 진행됐음을 알 수 있다"며 "지난달 스티브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한국에 왔을 당시 이 같은 부분이 논의됐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북한이 영변 핵시설에 대한 영구 불능화 조치를 하고, 미국이 조사단을 보내 검증을 마치고 나면 여기에 따른 상응 조치를 할 수 있다"며 "김 위원장이 신년사에서 언급한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가 미국이 주는 대가일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