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J턴의 조건] 악재 터지면 수급 '와르르'…'안전판' 기관 끌어들여야 산다

최두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1.01 16:14

수정 2019.01.01 16:14

코스닥 활성화 정책 다시 짜야
다양한 정부 지원정책 내놔
올해 상장기업 1300곳 돌파 등 코스닥 활성화 기반 다졌지만 기관들 소극적 접근으로 낮은 시장 유동성 문제 해결 못해
코스닥시장 불공정거래 막고 기업정보 효율적 생성·유통해야
[J턴의 조건] 악재 터지면 수급 '와르르'…'안전판' 기관 끌어들여야 산다

"정부 핵심과제인 혁신성장을 적극 지원하고 자본시장의 역동성을 높이기 위해 코스닥시장을 모험자본 조달의 산실로 만들겠다."

지난해 초 정지원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증권시장 개장식에서 코스닥시장 활성화를 위해 코스피·코스닥 통합지수 등 새로운 벤치마크지수를 개발하고, 코스닥 기반 금융상품을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혁신기업을 뒷받침하기 위해 주요 연기금의 코스닥 투자비중 확대를 유도한다고 발표했다. 거래소는 연기금 등 대규모 자금 운용에 적합한 벤치마크가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라 유가증권 및 코스닥시장의 우량기업 300종목으로 구성된 'KRX300지수'를 개발하는 등 발빠르게 움직였다.

그럼에도 코스닥지수는 지난해 10월 2008년 금융위기 시기와 맞먹는 투매 국면에 접어들었다. 같은 해 1월 900포인트가 넘었던 지수는 연말에는 600선으로 떨어졌다.
코스닥의 낙폭이 이례적으로 크게 나타난 것은 안전자산 선호도 심화로 코스닥 종목의 상대적 소외와 급격한 수급 불균형이 이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0월 유례없는 코스닥 폭락

코스닥지수는 지난해 10월 23일부터 급격히 떨어져 같은 달 30일에는 617.00으로 최저점을 경신했다. 코스닥지수가 610선을 기록한 것은 2017년 3월 이후 약 1년6개월 만이었다.

코스닥시장의 유례없는 폭락사태의 배경은 미국 증시의 급조정세, 연준의 추가 금리인상 우려, 글로벌 경기 둔화 조짐, 미·중 무역분쟁, 이탈리아 예산안 위기, 12월 유럽중앙은행(ECB) 양적완화 종료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코스닥시장은 2005년부터 꾸준히 성장해 2015년에는 시가총액 200조원을 돌파했다. 상장기업 수도 2016년 1200개를 넘어선 이후 2018년에는 1300개를 넘었다. "전 세계적으로 코스닥만큼의 위상을 갖춘 신시장이 많지 않다"는 것이 자본시장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하지만 정보 부족, 높은 가격 변동성, 낮은 시장 유동성 등의 구조적 문제가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임형준 한국금융연구원 자본시장연구위원은 "기관투자자들이 코스닥 투자를 외면하거나 소극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며 "코스닥시장에서 불공정거래가 많고, 가격 변동성이 큰 원인도 결국 기관의 부재로 기업 관련 정보가 효율적으로 생성 및 유통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추가 상장 선순환, 질적 성장 시급

지난해 1월부터 12월 19일까지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기업은 총 101개사로 전년 대비 2개사 증가했다. 거래소가 당초 목표로 했던 100개 기업 상장 목표를 달성한 것이다. 스팩(SPAC)을 제외한 일반기업 기준으로는 총 81개사로, 2005년 통합거래소 출범 이후 가장 많은 기업이 코스닥시장에 입성했다. 심사청구기업 수는 121개사로, 4년 연속 100개 기업을 초과했다.

코스닥 상장기업은 최근 4년간 크게 늘었다. 코스닥 활성화 방안의 하나로 상장기업 확대가 제기되면서 기술특례상장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2015년 122개 기업의 상장을 시작으로 2016년에는 82개, 2017년에는 99개 기업이 코스닥에 새로 진입했다.

시장 참여자들은 상장을 통한 선순환에는 공감하면서도 실질적인 수혜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코스닥시장 상장요건의 완화는 중소·벤처·기술기업의 기회 확대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질적 수준 저하로 이어진다면 코스닥의 저평가를 유발할 수 있다는 진단이다.

■기관 참여는 여전한 숙제

정부가 발표한 '2019년 경제정책방향'은 경제성장 지지를 위한 경제활력 제고, 즉 경기부양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정부에서도 새해 대내외 여건이 녹록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4대 경제정책방향으로는 △투자활력 제고 등 전방위적 경제활력 제고 △핵심규제 혁신 등 경제 체질개선 및 규제개혁 △사회안전망 강화 등 경제사회의 포용성 강화 △4차 산업혁명 대비와 남북경협 준비 등 미래 투자 등이 제시됐다.

올해 예산안을 보면 위기지역 및 구조조정업종에 대한 자금 및 연구개발(R&D) 지원 확대 등이 포함돼 있다. 또 중소기업을 위한 스케일 업(Scale-up) R&D사업 신설 및 기초연구 확대, R&D 질적 제고를 위한 기획평가 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 올해 9월에 통과된 규제샌드박스 3법에 따른 제도 운영비도 반영됐다.


코스닥 상장기업들의 업황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은 충실히 고려됐다는 분석이다. 문제는 여전히 코스닥을 외면하고 있는 연기금 등 기관의 참여를 어떻게 독려할 수 있느냐는 대목이다.
김준석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량하고 건전한 기업의 상장을 촉진하고, 코스닥시장의 경제적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출발점은 기관투자자의 역할과 비중 확대에 있다"며 "중소벤처기업 및 기술기업을 발굴, 분석하고 정보 비대칭성과 대리인 문제를 통제할 수 있는 주체는 개인투자자가 아닌 기관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