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fn스트리트

[fn스트리트] 기업도시

구본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12.17 17:24

수정 2018.12.17 17:24

수도권 3기 신도시 계획의 윤곽이 이번 주에 드러난다. 국토교통부가 집값을 잡기 위한 9·13대책의 일환으로 예고했던 사안이다. 어찌 보면 참여정부의 '시즌 2'다. 노무현정부도 올해 이상으로 서울 아파트 값이 폭등하자 판교·광교·동탄 등 12개 지역에 신도시를 건설했다.

1990년대 초반의 1기 신도시 탄생 배경도 비슷했다. 당시 노태우정부는 분당·일산·중동·평촌·산본 등 5개 신도시를 건설했다.
서울 주택가와 전세가가 천정부지로 오르자 대선공약인 '주택 200만가구 공급' 계획을 실천하지 않을 수 없었다. 1기든, 2기든 신도시들이 서울의 베드타운 구실을 톡톡히 한 건 사실이다. 그러나 역기능도 컸다. 서울의 택지난을 피해 조성되면서 교통체증과 혼잡 등 수도권 과밀을 가중시켰다.

세종시는 이를 감안해 지역균형 발전을 지향했다. 하지만 취지와 달리 인근 대전·충청권 인구만 흡수했을 뿐 수도권 인구 분산 효과는 미미했다. '길 과장'이란 조어에서 보듯 다수 공직자가 서울에서 출퇴근하는 행정도시의 한계를 드러내면서다.

반면 기업도시들은 뜨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분석한 평택·이천·서산·파주·아산 등의 최근 10년간 주요 성장지표 추이를 보라. 이들 5개 도시는 고용률, 경제활동 참가율, 실업률 지표 모두 전국 평균을 크게 앞질렀다. 특히 지난 8년간 기업 유치에 공들인 평택의 변화는 상전벽해다. 삼성전자가 2015년 평택공장을 착공한 이후 실업률이 그해 3.0%에서 이듬해 1.8%로 떨어지는 등 줄곧 일자리가 늘면서다. 그러니 청년인구가 유입되는 건 당연하다.

SK하이닉스와 LG디스플레이가 입지한 이천과 파주도 그런 점에서 '젊은 도시'다.
아산과 서산도 첨단기술을 갖춘 기업들로 지역경제가 활력을 찾고 있는 건 마찬가지다. 그래서 이들 차세대 기업도시들이 더는 서울을 쳐다보지 않아도 될 정도라면? 일자리는 공공부문이 아니라 기업이 창출한다는 명제를 입증하는 산 증거일 것이다.
3기 신도시 건설을 계획하고 있는 정부가 거울 삼아야 할 사례다.

kby777@fnnews.com 구본영 논설위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