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파리협정 세부규정 가까스로 채택 '알맹이 없다' 비판에도 합의에 의의

박종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12.16 17:20

수정 2018.12.16 19:45


폴란드 카토비체에서 열린 제24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4)에서 15일(현지시간) 미하우 쿠르티카 COP24 의장이 협상 타결에 기뻐하고 있다. 지난 2015년 12월 파리 기후변화 협정에 서명했던 약 200개국은 그간 온실가스 배출 측정과 보고 방식 등을 두고 실랑이를 벌이다 3년여만에 처음으로 이날 세부 규정을 확정했다. 로이터 연합뉴스
폴란드 카토비체에서 열린 제24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4)에서 15일(현지시간) 미하우 쿠르티카 COP24 의장이 협상 타결에 기뻐하고 있다. 지난 2015년 12월 파리 기후변화 협정에 서명했던 약 200개국은 그간 온실가스 배출 측정과 보고 방식 등을 두고 실랑이를 벌이다 3년여만에 처음으로 이날 세부 규정을 확정했다. 로이터 연합뉴스

지난 2015년 12월 파리 기후변화협정에 참여했던 세계 약 200개국 대표들이 3년 만에 협정의 구체적인 이행 지침을 마련했다. 회의에 참석한 대표들은 일단 규정을 마련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전문가들은 약속보다 이행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들에 따르면 제24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4)에 참석한 대표들은 15일(현지시간) 폴란드 카토비체에서 2주간의 회의 끝에 파리협정의 세부규정에 합의했다. 협정은 교토의정서가 만료되는 2020년 이후 새로운 기후체제를 수립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지구 평균기온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2도로 제한하는 것이 목표다. 참여국들은 앞서 합의에도 불구하고 온실가스 배출기준을 놓고 실랑이를 벌여왔다.

이번 회의 역시 쉽지 않았다.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쿠웨이트 같은 주요 산유국들은 협정 내용을 놓고 다른 참여국들과 대립했다. 미국은 지난해 6월 파리협정 탈퇴를 선언했으나 규정상 2020년 말까지는 협정에 남아 있어야 한다. 미 대표들은 특히 개발도상국에 다른 온실가스 측정방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중국을 견제하며 참여국 모두가 같은 규정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측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브라질은 14일부터 진행된 밤샘협상에서 현행 탄소배출 거래시장의 규정을 유지하자고 강경하게 버텼고, 이에 다른 선진국들은 기존 체계에 투명성이 부족하다고 맞섰다. 또한 개발도상국들은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협정 이행을 위해 2020년까지 연간 1000억달러(약 113조원) 규모로 재원을 마련하기로 한 약속을 어떻게 이행할지 더 상세한 계획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종 합의에는 각국이 온실가스 배출량과 감축안 이행을 보고하는 방식과 재원 조달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이 포함됐다.
미하우 쿠르티카 COP24 의장은 "상세하고 기술적인 합의점을 찾는 것이란 쉽지 않은 일이나 이번 규정으로 여러분은 1000보의 작은 걸음을 함께 내딛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미 비영리조직 참여과학자모임(UCS)의 알덴 메이어 정책전략 국장은 "진짜 시험은 참여국들이 집에 가서 이뤄질 것"이라며 "글자로 적힌 모든 결정은 탄소분자 하나도 줄이지 못한다"고 경고했다.
NYT는 지금 지구온난화 추이를 감안하면 앞으로 35년 뒤에 지구온도가 회복 불가능한 지점에 도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