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자동차-업계·정책

[현대차 신성장동력은 수소차] 정의선의 충주선언… 전세계 수소차 4대 중 1대 현대차 될 것

성초롱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12.11 17:50

수정 2018.12.11 17:50

수소경제 퍼스트무버 선언
2030년 글로벌 수소전기차 200만대 시장 규모 예상
현대차, 연 50만대 생산 목표..수소전지도 70만기 생산체제
연료전지 공급 신사업 추진..그룹 중장기 로드맵 발표
현대자동차 수소전기차 '넥쏘'
현대자동차 수소전기차 '넥쏘'

[현대차 신성장동력은 수소차] 정의선의 충주선언… 전세계 수소차 4대 중 1대 현대차 될 것

"머지않아 다가올 수소경제에서 '퍼스트무버'가 되겠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이 11일 중장기 수소 및 수소전기차(FCEV) 로드맵을 발표하며 제시한 목표는 수소경제사회 선도기업이다. 이날 정 수석부회장이 내놓은 로드맵에는 수소전기차뿐 아니라 수소에너지 산업에서 글로벌 리더 입지를 구축하겠다는 그룹의 구체적인 포부가 담겼다. 이와 함께 정부가 수소차 생태계 구성을 위한 지원책을 이날 내놓으면서 수소경제사회가 한발 앞당겨 다가올 것이란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수소경제사회서 '선두기업' 의지

현대차그룹은 이날 기공식을 가진 충북 충주 수소 연료전지시스템 생산 제2공장을 완공해 오는 2030년까지 수소 연료전지시스템 70만기 생산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정책에 맞춰 수소전기차 대중화 시대를 대비하는 동시에 수소 연료전지시스템을 활용해 사업다각화를 추진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수소 연료전지시스템 대량생산 체제를 마련하는 것은 현대차그룹이 전 세계에서 유일하다.

현대차그룹은 2030년 연간 판매 기준으로 글로벌 수소전기차 시장이 약 200만대 규모에 이를 것으로 보고, 이 중 4분의 1에 해당하는 50만대를 생산해 수소전기차 시장에서 선두 지위를 지속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국내 50만대 수소전기차 생산체제가 현실화될 경우 연간 경제효과는 약 25조원, 간접고용을 모두 포함한 취업유발 효과(한국은행 차량용 취업유발계수 적용)는 약 22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소전기차는 부품 국산화율이 높아 차량 보급이 확대될수록 국내 부품기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게 현대차 측의 설명이다.

아울러 현대차그룹은 연료전지시스템을 외부 공급하는 신사업도 추진한다. 수소전기차 시장 진출을 원하는 경쟁 완성차 업체를 비롯해 선박, 철도, 지게차 등 연료전지시스템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는 분야를 공략해 2030년엔 수소차와 별도로 약 20만기의 연료전지시스템을 외부에 판매할 계획이다. 실제 글로벌 컨설팅업체인 맥킨지는 2030년 수소연료전지 수요가 550만개에서 650만개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를 위해 현대차그룹은 기존 넥쏘 수소전기차에 들어가는 연료전지시스템을 기반으로 제품 성능을 보완하고 라인업을 확대해 다양한 수요에 대응할 방침이다. 연료전지시스템 판매사업 추진을 위해 이달 초에는 기존 현대·기아차 연구개발본부 소속 연료전지사업부 내에 실급 전담조직을 만들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디지털 혁신이 가속화될수록 차량을 비롯한 전 부문에서 에너지 수요는 증가할 수밖에 없다"며 "수소 연료전지시스템 공장 신축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이 더욱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소경제사회 진입 '가속화'

현대차그룹의 수소차 로드맵 발표와 함께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국회 등이 수소경제 생태계 형성 지원에 앞장서면서 수소경제사회 조기 진입 가능성도 높게 점쳐지고 있다. 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수소전기차 1만6000대 보급, 수소충전소 310개 설치를 목표로 한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에 앞서 울산시와 서울, 광주, 창원, 아산, 서산 등 전국 6개 지자체는 내년부터 2년간 총 30대의 수소버스를 시내버스 노선에 투입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특히 국회도 지난 8일 수소전기차를 2000대가량 보급하기 위해 편성됐던 예산을 심사 과정에서 4000대 규모로 확대했으며 수소충전소 보급예산도 당초 300억원에서 450억원으로 늘려 잡았다.
선진국들이 앞서 수소사회로 진입하기 위해 강한 지원책을 펼치는 가운데 한국 정부도 적극 지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중국은 '수소전기차 굴기'를 선언하고 2030년까지 수소전기차 100만대, 수소충전소 1000개소 보급이라는 도전적 목표를 세운 뒤 관련 법령과 정책을 정비하고 있다.
앞서 일본은 2014년 수소사회 실현을 위한 로드맵을 마련하고 2020년까지 수소전기차 4만대, 충전소 160개소를 보급한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longss@fnnews.com 성초롱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