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브렉시트 전환기간 연장론 급부상

서혜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10.18 17:17

수정 2018.10.18 17:17

'노딜' 우려에 EU 제안..英강경파 반발로 난항 예상
브렉시트 전환기간 연장론 급부상


영국과 유럽연합(EU)간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브렉시트 전환기간을 2021년 말로 1년 연장하자는 안이 급부상하고 있다. 북아일랜드-아일랜드간 국경문제와 영국·EU 자유무역협정(FTA) 문제 등 난제를 풀 시간을 벌기 위해 EU측이 제안하고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가 이를 고려할 용의가 있다고 밝힌데 따른 것이다. 그러나 영국 집권 보수당 내 강경파들이 '브렉시트 전환기간 연장론은 영국을 EU의 속국으로 남겨두는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난관이 예상된다.

17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메이 총리는 이날 밤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EU 정상회의에 참석한 자리에서 EU 정상들에게 브렉시트 이행 기간의 연장을 고려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안토니오 타야니 유럽의회 의장은 이들 정상이 브렉시트 이행기간을 21개월에서 33개월로 늘릴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고 확인했다.

영국과 EU는 영국이 내년 3월 EU를 떠나는 순간부터 2020년 말까지 21개월을 브렉시트 전환 기간으로 설정해놨다.
그러나 영국과 EU가 주요 쟁점에서 부딪치면서 영국이 아무런 합의 없이 EU를 탈퇴하는 '노 딜(No deal)' 브렉시트가 우려되자 EU는 영국에 비공식적으로 브렉시트 전환 기간의 연장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브렉시트 이후 북아일랜드-아일랜드간 '하드 보더(Hard Border·국경 통과시 통관 절차를 까다롭게 적용하는 것)'를 피하기 위한 방안 등 몇가지 주요 이슈에 대해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독일과 프랑스는 '노 딜' 브렉시트에 대비해 비상계획 수립에 나섰다.

이런 가운데, 월스트리트저널은 브렉시트의 경우 탈세계화를 추진할 경우 어떤 대가를 치러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한동안 곳곳에서 터져나왔던 '경기침체' '패닉' 등은 과장된 것이지만 영국은 제법 상당한 경제적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것이다.

WSJ은 스위스 투자은행 UBS가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의 조합을 통해 가상의 영국을 만들고, 이를 실제의 영국과 비교하는 복잡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브렉시트의 비용을 추산한 결과를 주목했다. 이에 따르면 올해 실제 영국의 국내총생산(GDP)이 EU에 잔존했을 경우의 가상의 영국 GDP보다 2.1% 쪼그라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중앙은행(BOE)은 브렉시트에 따른 영국 경제 위축의 주요 동인으로 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파운드 가치 하락을 꼽고 있다.
파운드 하락으로 수입품 가격이 오르고, 이로 인해 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이 뛰면서 가계의 구매력 위축을 불러 경제가 쪼그라들었다는 것이 BOE 평가다. 2016년 6월 국민투표 이후 인플레이션을 감안한 실질임금은 1.4%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같은 기간 실업률 흐름이 영국과 보조를 맞췄던 미국의 실질임금이 1.2% 상승한 것과 대조적이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송경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