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美 증시, 금리 인상 도전 극복하고 상승세 이어갈까

박종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9.23 08:48

수정 2018.09.23 08:48

美 증시, 지난주 사상 최고치 갈아치워
금주에는 연준 정책회의와 미·중 상호 보복 관세 발효
연준, 금리 0.25%P 추가 인상 확실시
연준 금리 인상, 신흥국 자본 유출 우려로 이어질 전망
블룸버그 “연준, 예상보다 매파적 견해 밝힐 가능성”
미국 뉴욕의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21일(현지시간) 트레이더들이 증시 전광판을 주시하고 있다.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뉴욕의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21일(현지시간) 트레이더들이 증시 전광판을 주시하고 있다.로이터연합뉴스


[워싱턴=장도선 특파원]
지난주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며 강세 기조를 이어간 미국 증시가 금주에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상과 미·중 상호 보복 관세 발효라는 커다란 도전에 직면하게 된다.

다우지수는 21일(현지시간)에도 상승 흐름을 지속하며 86.52포인트(0.32%) 올라 2만6743.50에 마감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08포인트(0.04%) 하락, 보합권인 2929.67에 마감됐지만 장중 한때 상승폭을 0.4%까지 확대했다. 다우와 S&P500은 각기 장 초반 새로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나스닥지수만 41.28포인트(0.51%) 떨어진 7986.96에 거래를 마쳤다.

주간 기준으로도 다우지수는 2.25%, S&P500은 0.85% 전진했다. 미국 증시는 강력한 경제 성장과 기업 실적, 우려했던 것보다 약한 것으로 평가된 미·중 추가 관세 조치를 호재로 받아들이며 지난주 랠리를 펼쳤다.

그러나 많은 전문가들은 미국 증시의 향후 방향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이번 주 연준 회의와 미·중 상호 관세 발효가 미칠 영향을 주시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미국과 중국 두 나라는 지난 17일 각기 상대방에 2000억달러와 600억달러의 추가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시행일을 24일로 정했다. 시장은 일단 양국의 관세 조치 내용이 우려했던 것만큼 심하지 않다고 판단했지만 무역전쟁 양상은 언제든 변화될 수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이 이번 주 워싱턴에서 열릴 예정인 미국과의 무역협상에 대표단 파견을 취소했다고 21일 보도했다.

시장은 연준이 25일과 26일 양일간 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재의 1.75~2.00%에서 2.00~2.25%로 0.25%포인트 상향 조정하고 연내 한 차례 더 금리 인상을 시사할 것으로 폭넓게 예상한다. 금융위기 이후 8번째가 될 연준의 금리 인상이 실제 이뤄질 경우 일부 신흥시장으로부터의 자금 유출을 재촉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게다가 기준 금리 인상은 일반적으로 미국 국채 수익률을 높여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미국의 금리 선물시장은 이미 연준의 이번 금리 인상을 100% 가격에 반영했다. CME그룹의 페드워치 프로그램에 따르면 연준이 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가능성은 22일 현재 93.8%, 0.50%포인트 높일 가능성은 6.2%로 전망된 반면 금리 동결 가능성은 0%로 나타났다.

분석가와 언론들은 이번 주 연준의 금리 인상 여부 그 자체 보다는 연준의 금리·경제 전망이 더욱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블룸버그는 이와 관련, 연준이 이번 정책회의에서 현재 시장의 예상보다 매파적 성향을 드러낼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본다. 현재 연준에 경제 상황이 부진하다고 평가하는 정책결정자는 없으며 연준이 2015년 12월 금리 인상을 시작한 이후 금융시장 여건은 오히려 완화됐기 때문이다.

블룸버그는 연준과 다른 분석 기관들의 현재 미국 경제 성장 전망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지난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올해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 전망을 무역전쟁 격화 등을 이유로 3%에서 2.9%로 낮췄다. 하지만 이는 여전히 연준 예상치 2.7% 보다 높다.
2019년 미국 성장률을 OECD는 2.7%, 연준은 2.4%로 내다본다. 연준과 OECD 전망치 모두 연준이 장기적으로 안정적 성장에 필요하다고 간주하는 GDP 성장률 1.8%를 상당 수준 넘어선다.
무역전쟁의 영향을 고려하더라도 미국의 통화 정책이 당분간 점진적 긴축 궤도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jdsmh@fnnews.com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