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이슈 & 사람] 신진수 낙동강유역환경청장 "고도정수처리한 낙동강, 녹조 검출 '0'"

오성택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9.09 17:34

수정 2018.09.09 17:34

매년 여름 발생하는 녹조 드론 등으로 파악·제거 총력
영남주민 불안감 불식시켜
[이슈 & 사람] 신진수 낙동강유역환경청장

【 창원=오성택 기자】 "지난 1991년 발생한 낙동강 페놀오염사건 이후 낙동강수계법을 제정해 지속적으로 낙동강 수질을 개선하고 있지만, 화학적 산소요구량(COD)과 총 유기탄소(TOC) 개선문제가 풀어야 할 숙제입니다."

영남지역 1300만 주민들이 식수로 사용하는 낙동강유역을 관리하는 신진수 낙동강유역환경청장은 담담하게 고민을 털어놓았다.

지난 1980년 부산환경측정관리사무소로 출발한 낙동강유역환경청은 1994년 낙동강환경관리청으로 개편한 뒤, 2002년 지금의 낙동강유역환경청으로 자리 잡았다.

낙동강청은 낙동강의 수질.생태계 개선을 위해 폐기물 관리,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 오염물질 배출사업장 지도점검 등 다양한 환경보전정책을 추진한다.

강원도 태백 황지연못에서 부산 사하구 하굿둑까지 총 연장 512km, 유역면적 2만3384km에 달하는 낙동강은 우리나라 하천 중 가장 길고 광범위하기 때문에 각종 사고가 끊이지 않는다.

낙동강은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환경오염으로 신음한지 오래지만, 매년 여름마다 발생하는 '녹조현상'은 이제 연례행사가 됐다.


신 청장은 "녹조를 줄이기 위해 지자체와 홍수통제소 등 관계기관 간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며 "폐수 등 오염원이 강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축사와 공장 등에 대한 점검 및 단속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올 여름 사상 최악의 폭염과 고수온으로 인해 유해남조류인 녹조 개체수가 126만4052/mL로 역대 최고 기록치를 기록했다.

낙동강청은 환경지킴이.조류감시선.드론을 이용해 육상과 하천, 하늘에서 입체적으로 녹조발생현황을 확인하는 한편, 댐과 보의 방류량을 늘리거나 선박을 이용해 직접 녹조를 제거하고 있다. 신 청장은 "녹조발생은 햇빛과 수온, 영양염류가 원인인데, 햇빛과 수온은 인력으로 통제할 수 없는 문제"라며 "비료성분인 영양염류를 통제해 녹조발생을 억제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따라서 낙동강 주변에 설치된 하수처리장과 폐수종말처리장 등의 환경기초시설에 대한 고도화 및 축산시설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하느냐가 녹조발생을 억제하는 유일한 대안인 셈이다.

낙동강청은 강물의 정체가 녹조발생을 가속화시키는 원인 중 하나라고 보고 강물의 흐름을 개선하기 위해 낙동강에 설치된 '보' 개방을 늘린다는 계획이지만 녹조발생으로 인해 낙동강 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영남지역 주민들의 불안감이 어느 때보다 높은 실정이다.

신 청장은 "주민들의 불안과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영남지역 정수장은 활성탄여과시설 등이 구비된 고도정수처리시설을 통해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올 여름 폭염과 가뭄으로 녹조 농도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으나, 고도정수처리시설에서 생산한 수돗물에서는 녹조의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주민과 시민단체들은 이명박 정부에서 추진한 4대강사업 당시 설치된 '보'로 인해 녹조 발생이 가속화 되고, 이로 인해 수질악화라는 악순환이 계속된다는 주장이다.

이에 정부는 낙동강의 보를 개방할 경우 수질개선 효과와 시설안전 여부, 용수 이용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뒤, 해당 지자체 및 주민들과 충분한 토의 및 협의를 통해 보 처리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수질오염과 더불어 낙동강변의 대기환경오염문제도 심각한 실정이다. 최근 5년간 부산.울산.경남지역에서 84건의 화학사고가 발생했다. 그 중 울산에서 발생한 사고 건수만 38건으로 전체 화학사고 발생의 절반 가까이 차지한다.


신 청장은 "화학사고 예방을 위해 사고발생 우려가 높은 울산지역의 체계적인 화학안전관리를 위해 '울산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인력을 5명에서 11명으로 확대했다"며 "인근 기업 간 사고발생시 시설.물자를 상호 지원하는 화학사고 민.관 공동대응협의회를 통해 사고예방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낙동강청은 수량과 수질의 시너지 극대화가 가능한 과제를 지속적으로 도출하고 물 문제 해결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신 청장은 "통합물관리 시스템을 통해 낙동강의 수질을 관리하는 한편, 지자체 및 대기업들과의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통해 미세먼지 등 대기환경보전에 모든 행정력을 쏟을 계획"이라고 각오를 다졌다.

ost@fnnews.com 오성택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