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무역전쟁 마주한 중국 '빚 줄이기' 일단 유보

박종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7.13 17:39

수정 2018.07.13 17:39

중국 산둥성 칭다오 항구 전경.AP연합뉴스
중국 산둥성 칭다오 항구 전경.AP연합뉴스


만성적인 부채과잉에 시달리는 중국 정부가 미국과의 무역전쟁으로 인해 그동안 추진하던 부채 감축 전략을 잠시 미룰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2일(현지시간) 익명의 관계자를 인용해 중국 정부가 경제 성장 둔화 및 미국과의 무역 갈등에 대처하려고 부채 증가 억제 기조를 완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관계자는 WSJ를 통해 금융당국이 은행과 기타 금융기관의 위험대출을 축소하는 계획 발표를 연기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런 움직임은 이미 미중 무역 갈등에 관한 우려가 큰 상황에서 추가 금융 규제가 나올 경우 신용 경색을 유발하고 금융 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앞서 중국 정부는 지난해 말부터 전면적인 경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잠재적 뇌관으로 지목된 과잉 부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대출 규모를 축소하고 시중 자금흐름을 죄는 '디레버리징' 정책을 서둘렀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중국 내 부채규모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242%에 달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조는 올해 초 미국과 무역전쟁 위기가 불거지면서 바뀌기 시작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4월 공산당 정치국 회의에서도 금융위기 억제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도 국내 수요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2015년 이후 중국공산당의 중추 의사 결정 기구인 정치국 회의에서 성장의 중요성을 강조한 최고 지도자의 발언이 나온 것은 처음이다.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 5일 은행 지급준비율을 0.5%포인트 인하해 7000억위안(약 117조원) 규모의 유동성을 시중에 공급했다. 선쑹청 인민은행 선임 고문은 이번에 완화된 통화 정책이 구체화되면 지난해 8.1%였던 광의통화(M2) 증가율이 올해는 8.5%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정부가 정책 방향을 바꾼 것은 무역전쟁으로 인한 경기 침체가 예상되는 가운데 계속해서 긴축정책을 고집할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중국의 1∼5월 누적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6.1%로 199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소비자 수요 척도인 소매판매 역시 2003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아울러 올해 들어 중국 기업이 갚지 못한 공모채권은 165억위안(약 2조7500억원) 규모로 올해 중국 회사채 디폴트(채무불이행) 규모는 사상 최대가 될 전망이다.


주차오핑 JP모간자산운용의 시장전략가는 "중국이 전반적으로 (디레버리징 정책을) 완화한다면 국유기업의 대출은 늘어나게 될 것"이라며 "여기에 위험성이 있다"고 말했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