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차관칼럼

[차관칼럼]건강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힘

정명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6.03 16:41

수정 2018.06.03 16:41

[차관칼럼]건강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힘


세계 제약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인구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 증가 등으로 의약품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연평균 4~7% 성장해 2021년엔 약 1조5000억달러(약 1621조500억원) 규모가 될 전망이다. 세계 자동차시장(연평균 3% 성장·약 6000억달러 규모), 정보기술(IT)시장(연평균 1% 성장·약 4000억달러 규모)과 비교해 보면 시장 규모도 더 크고 성장세도 더 높다.

제약산업은 신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기간이 10년 이상으로 길다. 1만개 프로젝트 중 한두 개만 성공할 정도로 실패율도 높다.
그러나 개발에 성공할 경우 10년 이상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고 양질의 일자리도 만들어진다. 이에 세계 각국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2002년 미국계 제약회사인 애브비가 개발한 '휴미라'(류머티즘관절염 치료제)는 제품 출시 1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단일품목으로만 연간 약 189억5000만달러(약 20조원) 이상 매출을 내고 있다.

신약 개발에 뒤늦게 뛰어든 우리나라는 1999년 제1호 신약(선플라주) 개발을 비롯해 현재까지 29개 신약 개발에 성공했고, 세계시장 진출에도 많은 성과를 내고 있다. 예를 들어 지난해에는 한올바이오파마 등이 개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 항체신약인 'HL161'을 스위스 글로벌 신약개발 전문사인 로이반트사이언스에 5억250만달러(약 5400억원) 규모로 기술수출 계약을 맺었다.

또한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개발에 성공한 항체 바이오시밀러가 연매출 1조원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제약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의약품 부문에서 연간 2000억~3000억원씩 무역수지 적자를 보고 있을 정도로 글로벌 경쟁력이 취약하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임상기술 등을 도입하고 있으나, 이를 다룰 만한 전문인력을 제대로 양성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는 '혁신성장을 선도할 미래유망산업'으로 제약산업을 육성하는 것을 지난해 7월 국정과제로 채택했다. 더불어 연구개발 확대와 전문인력 양성 등의 내용을 담은 '제2차 제약산업 육성·지원 5개년 종합계획'을 작년 연말 확정, 발표했다. 또한 지난 3월에는 4개 부문(연구개발, 일자리, 수출지원, 제도개선) 152개 세부추진과제에 4324억원을 투입하는 2018년도 제약산업 육성 시행계획도 발표했다.

제약산업 육성 방향은 '4차 산업혁명'과 '혁신성장'으로 요약할 수 있다. 우리나라가 강점을 보유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ICT)·AI 등을 신약개발에 적극 활용하고, 첨단 바이오 신약 분야를 집중 육성하면서 신속 정확하게 임상시험 등을 통해 안전성과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희귀·난치질환과 치매 등 치료약이 없는 질환에 대한 첨단 바이오 신약 개발과 우리 국민에게 필요한 백신을 스스로 만들어내는 백신 자주화 등이 이뤄져야 우리나라도 세계적 제약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제약 강국은 정부 정책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민간이 앞장서서 창의와 열정을 발휘해야 성공할 수 있다. 제약기업과 대학·대학원, 연구소, 병원 등이 첨단 바이오 신약 등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늘리고, 젊은 인재를 많이 고용하는 등 마중물을 부어야 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과 AI·로봇 기술 등의 변화를 적극 활용하면서 제약사가 필요한 기술, 아이디어 등을 외부에서 조달해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다양한 연구 주체가 서로 협력하면서 경쟁하는 노력도 동반되길 기대한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차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