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기준금리 반년째 동결] 금통위, 만장일치 금리동결…7월 인상설은 아직 유효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5.24 17:18

수정 2018.05.24 17:19

소수의견 없어 판단 어려워
6월 美금리인상 지켜볼 듯
아르헨 등 신흥국 불안 변수
이주열 총재 "고용부진 사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서울 세종대로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시작을 알리는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금통위는 이날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연 1.50%로 동결했다. 사진=박범준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서울 세종대로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시작을 알리는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금통위는 이날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연 1.50%로 동결했다. 사진=박범준 기자


한국은행은 24일 서울 세종대로 한은 삼성본관에서 통화정책회의인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열고 만장일치로 5월 기준금리를 1.50%로 동결했다. 소수의견이 나올 것이라는 시장전망과 달리 만장일치로 동결 결정을 내렸다.
이로써 한은의 금리인상 시점은 모호해지고 있다. 결국 올 2·4분기 고용·성장률 등 실물경기 지표의 개선세와 다음달로 예상되는 미국의 금리인상 영향을 확인한 후 한은이 금리인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인상시기 전망 엇갈려

시장에서는 금통위 전까지 인상 관련 소수의견과 한은의 경기인식에 주목해왔다. 7월 금리인상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하지만 이번 금통위는 소수의견이 나오지 않았고 경기에 대한 판단도 7월로 미뤘다.

경기흐름을 진단할 뚜렷한 메시지나 금리인상 시점을 가늠해볼 힌트를 주지 않은 것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 후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성장흐름은 지난 4월 전망을 수정할 상황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면서도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한층 커진 것이 사실이다. 경계를 늦추면 안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별한 시그널이 나오지 않으면서 시장의 전망은 엇갈리는 모양새다.

먼저 소수의견이 없었고 경기판단이 달라지지 않았지만 7월 인상은 필연적이라는 관측이다.

6월을 시작으로 미국이 올 하반기에만 3차례 금리인상에 나설 경우 벌어지게 되는 양국의 금리차가 부담스럽고, '상고하저'의 경기흐름을 고려하면 오는 7월 금리인상에 실기할 경우 인상이 어렵다는 이유다.

김명실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6월 인상 가능성이 확실시되는 가운데 금리역전에 대한 부담감 등을 고려하면 7월 인상도 무리한 수준이 아닐 것"이라고 언급했다.

금리인상 시기가 7월 이후로 밀린다는 관측은 부진한 경기상황에 근거를 두고 있다. 김지나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펀더멘털만을 놓고 봤을 때 국내 기준금리 인상은 사실 어렵지만 향후 통화정책 여력 확보 차원에서 기준금리 1회가량 인상이 가능하다"며 "7월 인상은 다소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지금과 같은 지표흐름이면 7월 소수의견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준금리 반년째 동결] 금통위, 만장일치 금리동결…7월 인상설은 아직 유효


■실물지표, 인상시기에 영향

시장에서 의견이 모아지는 부분은 올 하반기 한 차례 금리인상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이다. 다만 시기를 특정하기는 어렵지만 성장률과 고용 등 실물경기 지표의 흐름과 미 금리인상에 따른 신흥국 영향이 주요 고려사항이 될 것으로 본다. 국내 경기상황이 뒷받침되지 않은 상황에서 섣불리 금리를 올리면 경제에 찬물을 끼얹게 되기 때문이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1·4분기 우리 경제는 전기 대비 1.1% 성장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 2.8% 성장하는 데 그쳤다. 목표였던 3% 성장에 미치지 못한 것이다. 취업자 증가폭을 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2월부터 4월까지 연속 3개월 이상 10만명대에 그칠 정도로 부진에 빠져 있다. 취업자 증가폭이 3개월 연속 10만명대에 머무른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이날 간담회에서도 이 총재는 불확실성이 높아진 실물경제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특히 고용과 관련, 그는 "최근 고용상황이 부진한 것이 사실"이라며 "고용부진은 최저임금 영향뿐만 아니고 일부 업종 구조조정이나 기저효과 등 여러 요인이 혼재됐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금리인상이 신흥국에 미치는 영향도 우려했다. 아르헨티나가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하는 등 미국의 금리인상이 일부 신흥국의 경제불안으로 연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신흥국 전반의 불안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다.

이 총재는 "최근 미국 금리가 상승하고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일부 신흥국에서 통화가치가 급락하는 등 금융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불안한 모습을 보이는 신흥국을 보면 기초경제여건이 취약하고 정치적·지정학적 불안이 크다"고 지적했다.

국내 영향에 대해 그는 "우리나라 대외건전성은 상당히 양호하다.
경상수지 흑자폭이 크고 외환보유액도 어느 정도 갖추고 있고 단기외채 비중이 낮다"며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선을 그었다.

아울러 3조8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이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면 한은 금리인상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이 총재는 "집행률이라든지, 경제주체들이 추경에 어느 정도 반응하느냐에 달렸다"며 "아직 효과가 얼마라고 얘기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