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김기식·드루킹 후폭풍]‘금융개혁’ 민간출신 내밀까.. ‘조직안정’ 관료카드 꺼낼까

최재성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4.17 17:30

수정 2018.04.17 17:30

금감원장 차기 수장, 청와대의 선택은
한 달 새 2명의 금융감독원장이 낙마하면서 후임 금감원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청와대에서는 금융개혁을 위해 또 한번 민간인사 카드를 선택할 수 있지만 금융권에서는 안정을 위해 관료 출신 수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새 금감원장 인선 시기는 코앞에 다가온 남북정상회담, 북·미 정상회담을 치르고 6.13 지방선거까지 거친 이후가 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그때까지는 유광열 수석부원장 대행체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민간출신 한번 더

17일 금융권과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후임 금감원장으로 김기식 원장만큼 개혁적인 민간인사가 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3일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한 분야는 과감한 외부 발탁으로 충격을 주어야 한다는 욕심이 생긴다"고 밝혔듯 '금융 적폐 청산'에 강력한 의지를 갖고 있어 이번에도 파격 인사를 단행할 것으로 분석됐다.
금감원 내부에서도 민간인사가 한 번 더 올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권 개혁을 위해 민간인사 선임을 천명한 정부가 다시 관료 출신 인사 선임으로 돌아서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문제는 최(흥식) 원장과 김 원장이 불명예 퇴진함에 따라 금감원장직에 대한 부담감이 커졌고, 선뜻 수락할 인물이 등장할지 모르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두 번의 금감원장 인선 과정에서 하마평에 오른 김조원 한국항공우주산업 사장이 가장 주목받고 있다. 김 사장은 노무현 대통령 시절 대통령 비서실에서 근무했고, 2015년 이후 더불어민주당 당무감사원 원장으로 활동한 경력도 있어 현 정부와 접점도 충분하다는 평이다. 또 다른 후보로 꼽히는 윤석헌 서울대 교수는 올 초 금융연구원장 후보로도 거론됐다. 윤 교수는 현재 서울대 경영대 객원교수직을 수행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민간 자문기구인 금융행정혁신위원회 민간위원장직을 수행하기도 했다. 현 정권의 주요 인물과 인맥이 닿아 있고, 소신이 강한 타입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외에 심인숙 중앙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과 교수 등도 거론되고 있다.

■관료 출신 가능성은

두 번의 금감원장 낙마를 거치면서 금융권은 사실상 패닉 상태에 빠졌다. 이런 상황에서는 개혁보다 안정화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많다. 관료 출신으로는 유광열 금감원 수석부원장(행시 29회)이 우선 거론된다. 금감원 내부 사정에 정통하고, 어수선한 원내 분위기를 빠르게 수습할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다.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에서 경력을 쌓은 정은보 전 금융위 부위원장도 언급된다. 행정고시 28회인 정 전 부위원장은 '금융전문' 관료로 분류된다. 김용범 현 금융위 부위원장(행시 30회), 김광수 전 금융정보분석원장(행시 27회), 김주현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표(행시 25회), 윤종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표부 대사(행시 27회) 등도 후보가 될 수 있다.

다만 김광수 전 원장은 금감원장보다는 농협금융 회장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관료는 아니지만 주재성 전 금감원 부원장도 금융권에서 신망을 받고 있어 후보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가능성은 낮지만 (관료출신 인사 등용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며 "문재인 대통령도 언급했듯 관 출신 인물을 등용하는 무난한 선택을 통해 안정적인 금감원 운영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차기 금감원장 인선은 김 원장 때와 달리 시간을 충분히 두고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당장 남북정상회담이 10일 앞으로 다가왔고, 6.13 지방선거 역시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jasonchoi@fnnews.com 최재성 홍석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