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차관칼럼

[차관칼럼] 스마트팜, 농업의 판도를 바꾼다

김서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3.18 16:46

수정 2018.03.18 16:46

[차관칼럼] 스마트팜, 농업의 판도를 바꾼다

세계적인 투자가 짐 로저스는 얼마 전 우리나라를 방문해 10~20년 후 농민이 스포츠카 타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전 방문 때 청년들에게 농업을 직업으로 택하길 권해 우리 사회에 신선한 충격을 줬던 그는, 왜 농업의 미래를 밝게 보고 있을까.

안타깝게도 우리 농업의 현실은 결코 녹록지 않다. 개방화로 인해 국산 농산물이 점차 설 자리를 잃고 있고, 농업.농촌에 젊은이들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농업소득은 십수년째 정체돼 있고, 최근 농업분야 투자는 오히려 뒷걸음치고 있어 생산성 향상도 한계에 와 있다. 이렇듯 성장엔진이 점차 식어가는 우리 농업에 어쩌면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기회가 찾아왔다. 4차 산업혁명과 함께 향후 농업의 판도를 완전히 바꿔놓을 새로운 물결, 바로 스마트팜이다.


스마트팜은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수집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농작물이 가장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농장을 일컫는다. 농장 곳곳에 있는 센서가 온도.습도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면 컴퓨터가 냉난방기 구동, 천장 개폐, 양액 공급 등을 통해 최적화된 환경을 유지한다. 물론 이 모든 과정도 스마트폰 하나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팜에서는 생산성이 높아진다.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스마트팜을 도입한 국내 농가의 1인당 생산성이 40% 가까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농가당 경지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고, 농촌에 인력이 부족한 우리의 농업여건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또 스마트팜에서는 통제된 환경에서 연중 생산이 가능해진다. 즉 시장이 원하는 안전하고, 균질의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농업인들로서는 만성적 수급불안과 판로 걱정을 덜고, 유통.식품 기업 등 농산물 수요처는 원하는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돼 모두에게 이득이 된다. 또한 수출이 증가해 규모화와 투자 확대도 기대된다. 스마트팜을 통해 일본 파프리카 시장을 석권한 우리 농가의 경험이 이를 증명해 준다.

무엇보다 스마트팜을 통해 우리 농업에 청년이 늘어난다. 기존 농업방식은 장기간의 기술과 경험습득 과정이 필요했지만 스마트팜은 데이터, 즉 기록이 그 지난한 과정을 대폭 단축시켜 준다. 농업에 대한 경험과 전문지식이 부족하지만 정보통신기술(ICT)에 친숙한 청년들이 농업에 도전하고, 창업을 하며, 연관 산업에 취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노동시간이 줄어들고, 원격제어가 가능해짐에 따라 '주말이 있는 농촌에서의 삶'도 더 이상 꿈이 아니다. 농업이 청년들이 선호하는 직업에 손꼽힐 날도 그리 멀지 않았다.

정부는 스마트팜의 가능성을 주목하며 범정부 차원의 과감한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2022년까지 현재 4000㏊의 스마트팜 온실을 700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스마트팜 청년 전문인력도 500명 이상 양성하며, 이들이 안정적으로 창업할 수 있도록 농지.자금 지원과 함께 청년 임대형 스마트팜을 제공해 초기 부담을 덜어줄 예정이다. 아울러 스마트 생산.유통, 기술혁신, 청년창업이 집약적으로 이뤄지는 '스마트팜 혁신밸리'조성에 본격 착수하고,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스마트팜이 우리 농업의 미래가 돼야 하는지는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팜을 통해 청년이 유입되고, 투자가 활성화되며, 새로운 먹거리를 만들어낼 수 있다면 그 기회는 반드시 잡아야 한다. 투자에는 감각이 중요하다고 한다.
짐 로저스의 예언이 이번에도 적중하기를 기대해 본다.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