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북한

특사외교 후 정상통화·고위급회담 이어져..南北美日 연쇄 정상회담 조율 본격화

임광복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3.18 16:24

수정 2018.03.18 16:24

강경화 외교부 장관(왼쪽)과 존 설리번 미국 국무부 부장관. 연합뉴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왼쪽)과 존 설리번 미국 국무부 부장관. 연합뉴스
특사외교 이후 한미·한일 정상통화와 한미·한일 외교장관 회담 줄줄이 이어지면서 4~5월 남·북·미·일·중의 연쇄 정상회담을 위한 세부조율이 본격화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한미·한일 정상통화와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한미·한일 외교장관회담이 잇달아 진행돼 주변국의 높은 관심이 반영되고 있다.

남북은 3월말 고위급회담을 열고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구체적인 의제 등을 협의할 전망이다.

일본 아베 신조 총리는 최근 한반도 정세 관련 패싱(배제) 우려감이 높아지자 북일정상회담 제안과 한일 정상회담, 한·중·일 정상회담 조기개최를 원하고 있다.

북측은 리용호 외무상과 스웨덴 마르고트 발스트룀 외무장관의 비공개 외무장관회담을 사흘(15~17일·현지시간)로 일정을 하루 연장하면서 북미정상회담, 북한 억류자 미국인 3명의 석방 등의 논의를 이어갔다. 북한 외무성 대미실무 담당인 최강일 북한 외무석 부국장은 18일 베이징 서우두공항을 통해 핀란드로 향해 캐슬린 스티븐스 전 주한미국 대사 등과 남북미 1.5트랙 대화를 가질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 정세변화..연쇄 정상회담 추진
대북특사단이 미국을 비롯한 중국·일본·러시아를 순방한 후 정상통화, 고위급회담 등이 지속되면서 주변국들과 연쇄 정상회담이 추진되고 있다.

정부는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 등을 위한 공조를 위해 한미, 한일, 한중일정상회담을 위한 실무에 돌입할 전망이다.

비핵화와 평화체제구축을 위한 남북정상회담 로드맵을 북미정상회담으로 연계시키기고, 주변국들의 지지를 얻어내기 위한 정상회담이 탄력을 받는 것이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북핵 중재외교'완성을 위해 4월 말 남북정상회담과 5월 북·미 정상회담 사이에 한·미 정상회담 개최를 타진 중이다.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가급적 한미간에 핵심 의제를 갖고 실무적이라도 한미정상회담을 하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미정상회담 전에 한·미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것은 대북 관련 의제를 조율하고, 한·미 공조체제 균열을 막기 위한 조치란 분석이 나온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의 특사외교에 이어 방미해 정상회담의 세부 조율 등에 나섰다.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 경질후 존 설리번 국무장관 대행과 17일(현지시간) 외교장관회담에서 "남북, 북미 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개최돼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구축을 위한 역사적 이정표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국무장관 지명자가 취임하면 한미 외교장관이 최대한 빨리 소통하고, 조셉 윤 은퇴 후 공석인 대북정책특별대표 인선도 조속히 진행시켜 줄 것을 당부했다.

■일본 韓日, 北日 정상회담 잇단 요청
강 장관은 워싱턴에서 17일(현지시간) 일본 고노 타로 외무대신과 외교장관회담을 개최하고 문 대통령의 방일 및 한·중·일 정상회담 조기개최를 검토하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신조 일본 총리는 지난 16일 통화에서 '북·일 정상회담' 및 일본인 납치자 문제 협력 등을 위해 문 대통령의 방일을 양국 실무진 차원에서 날짜를 조율하기로 했다. 위안부 합의 처리 문제로 갈등을 빚던 양국이 북·일 정상회담이란 대형 이슈를 중심으로 다시 한번 정상회담을 타진하고 있는 것이다. 두 정상은 한·중·일 정상회담 역시 가급적 '이른 시기'에 개최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의 일본 방문 4월 말 남북정상회담 직후나 직전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임종석 준비위원장이 3월말 남북 고위급회담을 제안해 총괄간사인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리선권 조국평화통일 위원회 위원장이 만나 남북정상회담의 구체적 일정, 형식, 의제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4월 정상회담은 당일치기 회담으로 계획하고 있지만, 정상간 논의 등에 따라 하루 정도 연장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편 중국과 러시아도 한반도 정세변화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중국 왕이 외교부장은 지난 16일 베이징을 방문한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이고리 모르굴로프 러시아 외무차관을 만나 한반도 정세 완화를 지지하고, 관계국가들의 대화와 회담에 적극적인 진전에 조율 및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lkbms@fnnews.com 임광복 조은효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