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청와대

'협상가' 文대통령, 10개월간의 행보는..."北보다 美에 3배 공 들여"

조은효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3.11 22:00

수정 2018.03.12 13:08

한미관계 구축 제1과제로 삼아, 中으로 北으로 활동반경 넓혀
특정 참모집단 의견 따르기 보다는 본인이 최종 결정 
지난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방한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려이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빈만찬에서 한 곳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방한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려이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빈만찬에서 한 곳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5월 미국의 시사주간지 타임은 당시 대선을 닷새 앞에 둔 문재인 당시 대선후보를 아시아판 표지모델로 삼고, '협상가(The negotiator)'라고 칭했다.

대선후보였던 문 대통령은 타임지와의 인터뷰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비합리적'인 지도자일지라도 그가 북한을 통치한다는 '현실'을 받아 들여야한다. 그래서 우리는 그와 얘기해야 한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해선 김정은 위원장과 햄버거도 먹을 수 있다고 말한 '실용주의자'라고 했다.

당시만 해도 문 대통령은 '원칙주의자'정도로 알려졌을 뿐 타임지의 이런 평가는 국내엔 다소 "낯설다", "의외다"라는 느낌을 줬던 게 사실이었다. 문 대통령의 개인적인 성품이나 과거 지나온 길을 설명해주기 보다는 응당 '한국 대통령이라면 앞으로 가야 할 길'정도를 제시해 주는 단어로 여겨졌을 뿐이었다.

그로부터 꼭 1년이 되는 오는 5월 '비합리적인 지도자'와 '실용주의자'가 '협상가'의 중재로 만나게 됐다.

문 대통령은 지난 10개월 간 협상가로서 어떤 모습을 보여왔는가.

'협상가' 文대통령, 10개월간의 행보는...


11일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대북정책을 결정하는 사람은 다름아닌 문 대통령 본인이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소위 '대미라인'이니 '대북대화파' 등 소위 특정 참모군의 의견을 따르기보다는 대통령 본인이 온전히 최종적으로 의사결정을 했다"고 설명했다. 외교안보라인에서 '실세 참모'가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북한과 대화 경험이 전무한 '미국통'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서훈 국가정보원장 등 '북한통' 앞에 배치한 건 이런 상황을 잘 대변해주는 것이다. 앞서 상당수 전문가들은 남북대화가 진행될수록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과 서훈 원장, 조명균 통일부 장관 등 대화파가 전면에 나서고, 대미라인인 국가안보실이나 외교부의 역할은 축소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봤지만 정실장의 수석특사 기용은 이런 전망을 완전히 뒤엎는 것이었다. 문 대통령으로선 북·미 대화 성사와 한·미 관계를 위해서 백악관과 핫라인을 유지하고 있는 정 실장을 수석특사로 기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협상가'로서 제1과제는 한·미 관계, 즉 트럼프 대통령과의 탄탄한 관계설정에 있었다. 문 대통령은 정부 출범 초기 "북한부터 가야 한다"는 원로 대화파들의 주장을 뒤로 하고, 두 번이나 미국을 방문, 트럼프 대통령과의 관계에 공을 들였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그간 정부 출범 직후부터 가령 북한과의 관계에 '1'을 공들였다면 미국과의 관계엔 '3'을 공들였다"고 말했다. 실제 정부 출범 초기 청와대는 대북특사를 파견할 계획을 갖고 있었으나 미국부터 가야 한다는 문 대통령의 구상에 따라 곧바로 철회됐다. 대통령 본인이 한.미 관계 구축을 우선순위를 놓고, 북한과의 대화에 속도를 조절했던 것이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추구하는 압박과 제재에 동참하며, 워싱턴의 의구심을 불식시켜 나갔고 이를 기반으로 중국으로, 북한으로 활동반경을 안정적으로 넓혀나갈 수 있었다. 아베신조 일본총리가 선점했던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회선도 점차 워싱턴과 서울간 통화로 넘어오기 시작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오후 청와대 관저 소회의실에서 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방북 결과를 설명하고 귀국한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과 서훈 국정원장 등 대북특사단원들에게 방문 결과를 보고 받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오후 청와대 관저 소회의실에서 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방북 결과를 설명하고 귀국한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과 서훈 국정원장 등 대북특사단원들에게 방문 결과를 보고 받고 있다. 청와대 제공

'협상가'로서 문 대통령은 철저히 자세를 낮추고 '트럼프 대통령'의 공(功)을 강조하는 전략을 구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딸 이방카 트럼프 백악관 보좌관이 방한했을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남북대화를 강력히 지지해 준 덕분이다" "트럼프 대통령과 이 역사적 위업을 함께 달성하고 싶다"고 말했던 것이나 지난 8일 국가조찬기도회에 참석해 기독교 목사 5000명을 향해 "대북특사단 활동은 남북 간의 대화뿐 아니라 미국의 강력한 지원이 함께 만들어낸 성과"라고 밝혔던 것은 모두 트럼프 대통령에게 그대로 전달됐다. BBC방송에서 존 덜러리 연세대 교수는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을 동시에 다루는 데 있어 '정직한 브로커의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의 모든 외교시계는 5월로 맞춰져있다. 약 두 달여 남은 북·미 정상회담 개최전까지 양측간 기싸움을 관리하는 일이 당장의 과제가 됐다.
문 대통령은 휴일인 이날 오후 늦게 워싱턴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고 귀국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으로부터 방미 결과를 보고받았다. 이어 정 실장을 12일 베이징으로 급파, 어렵사리 성사된 북·미 대화 관리에 주력할 계획이다.


'협상가'에게 마지막 고비가 남은 것이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