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대기업

[글로벌 무역전쟁 일촉즉발] 최악 피한 국내 철강업체 '폭탄'은 여전

김경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3.02 17:54

수정 2018.03.02 17:54

53% 보복관세 면했지만 강관 등 일부품목
추가관세땐 최고 70∼80%
[글로벌 무역전쟁 일촉즉발] 최악 피한 국내 철강업체 '폭탄'은 여전


미국이 한국, 중국, 러시아 등 12개국에만 철강 수입관세를 53%까지 물리려던 초강경 무역보복 조치안을 채택하지 않기로 했다. 그 대신 모든 국가에 25%에 달하는 관세를 매기는 방안을 채택할 예정이다.

미국 철강수출액 3위에 달하는 국내 철강업체들이 최악의 시나리오는 피했지만, 강관 등 일부 품목의 수출길은 여전히 험난할 것으로 보인다. 강관, 냉연강판, 컬러강판 일부 품목(업체)의 경우 25%의 관세가 추가될 경우 최대 70~80%에 달하는 초고관세를 물게 될 것으로 우려된다.

1일(현지시간) CNN머니, 월스트리트저널(WSJ),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으로 미 철강업계 경영진을 불러 "다음주 수입 철강에 25%, 수입 알루미늄에 10% 관세를 물리는 방안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미 상무부는 지난달 16일 무역확장법 232조 보고서에서 △한국, 중국, 러시아, 브라질 등 12개 국가에 53%의 관세를 적용하거나 △모든 국가에 일률적으로 24%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 △국가별 대미수출액을 2017년 수준의 63%로 제한하는 방안 등 3가지를 제안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3가지 방안 중 '전 국가에 24% 일률관세'를 최종 선택했다. 이번 트럼프 행정부의 선택 전까지 중국, 러시아 등은 미국의 무역보복에 대해 강도 높은 보복을 준비해왔다.

우리나라도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19일 미국의 무역규제에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강력 대응을 주문한 바 있다.

철강협회 송재빈 전 부회장도 "약을 쓰더라도 그 시기가 있다"면서 "WTO 제소라는 압박 카드를 미리 내보일 필요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대미통상 실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선협상·후조치'라는 입장을 취해왔다. 산업부는 지난달 18일까지만 해도 미국 232조에 대한 WTO 제소 논의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산업부는 "미 상무부가 발표한 무역확장법 232조에 대한 WTO 제소 방침을 결정하지 않았다"면서 "미국의 최종 결정이 내려지기 전까지 미 정부, 의회, 업계 등에 대해 아웃리치(외부접촉) 노력을 경주할 것"이라고 하는 등 WTO 제소 검토에 부담을 느껴왔다.

하지만 청와대의 강력 대응 주문이 나온 뒤에야 산업부는 입장을 선회해 소송도 검토하고 있음을 조심스럽게 내비치기도 했다.

산업부는 이날 "방미 중인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이 개리 콘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의장, 윌버 로스 미 상무부 장관 및 의회 주요 인사 등을 접촉해 무역확장법 232조 조치의 문제점을 적극 제기한 바 있다"고 전했다.

한편 US스틸, AK스틸 등 철강주들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이후 심하게 요동쳤다. 철강주는 오전에 높은 기대감으로 큰 폭의 상승세로 출발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철강업계의 얘기를 듣는 자리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급락했다.

그러나 곧이어 트럼프가 다음주 관세를 물리기로 했다는 소식에 급등세로 다시 돌아섰다.
철강주는 급등했지만 뉴욕증시는 폭락했다. 오전장에서 150포인트 넘는 상승폭을 기록하던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는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결정 소식에 550포인트 급락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 나스닥 지수는 1.5% 가까이 하락했다.
특히 포드, 제너럴모터스(GM) 등 자동차 업종 주가가 3% 넘게 폭락했고 아마존, 애플, 알파벳(구글 모회사) 등 기술주 역시 급락했다.

rainman@fnnews.com 김경수 송경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