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한은, 27일 금통위] 안에선 물가 불안, 밖에선 통상압박.. 금리 동결에 무게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2.25 17:29

수정 2018.02.25 17:29

고민 깊은 이주열 총재..물가회복 추세 여전히 부진.. 美 보호무역 공세도 변수
임기 마지막 금통위에서 금리 올리기는 부담 클듯
언제쯤 금리 올릴까
美, 3월.6월 금리인상 시사..외국인 자금이탈 상황 대비.. 인상 시기는 5월이 유력
[한은, 27일 금통위] 안에선 물가 불안, 밖에선 통상압박.. 금리 동결에 무게

27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의 임기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앞두고 금리에 대한 고민이 커지고 있다. 예상보다 빠른 미국의 금리인상과 낮은 물가,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영향 등 내.외부적 요인들이 금리결정을 어렵게 만들고 있어서다.

일단 시장에서는 한은이 이달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본다. 이후 새로운 한은 총재 취임과 미국의 금리 흐름, 국내 경제상황 등에 대한 점검이 마무리되는 오는 5월께 금리인상에 나설 것이 유력하다고 전망한다.

■물가.보호무역, '위험요인'

25일 한은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수입물가지수는 82.96으로 전달 대비 0.7% 상승했다. 지난해 11월과 12월 2개월 연속 하락세가 반등한 것이다.
국제유가 상승이 수입물가를 끌어올린 요인이다. 정체된 모습을 보이던 생산자물자지수도 지난 1월 한파로 농산물 가격이 오르면서 전달과 비교해 0.4% 상승했다.

수입물가와 생산자물가가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인 만큼 2월 물가는 1월에 비해 소폭 개선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물가가 올해 계속해서 한은의 통화정책의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김지나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물가는 올라가는 기조가 몇 달은 지속될 것이다. 상승한 유가가 제품에 반영되는 것을 무시할 수는 없다"면서도 "문제는 수요 측면에서 물가인상 추세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올해 물가가 높아진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실제 올해 연간 기준 물가상승률 전망은 1.7%로 한은 목표치인 2%에 미치지 못한다.

물가가 우리 경제 내부적 고민이라면 외부적 고민도 큰 상황이다. 특히 미국 경제의 움직임이 우리 입장에서는 고민이다.

올 들어 미국 정부는 세탁기에 대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를 시작으로 철강 관세부과 등을 통해 통상압박을 가하고 있다. 한국GM이 군산공장을 폐쇄한 것처럼 국내 진출한 미국 기업들도 움직임을 보이는 형국이다.

미국은 중국과 함께 우리나라 양대 수출국으로 지난해 전체 수출 내에서 대미수출 비중은 12.0%에 이른다. 여기에 최대 수출국인 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미국 수출까지 더하면 우리 경제에서 대미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 커진다.

최대 수출국 중 하나인 미국과의 통상에서 국내 기업이 어려움에 빠진다면 그 여파가 경제 전체에 미칠 수 있다.

이 총재는 20일(현지시간) 스위스 취리히에서 "(미국 보호무역정책이) 예상을 뛰어넘게 강하게 나온다면 우리 경제에 직접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언급했다.

■5월 금리인상 유력

시장에서는 27일 금통위에서 한은이 금리동결을 선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내·외부적 위험요인이 있는 만큼 금리인상을 통해 새로운 리스크를 만들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이후 전망은 5월 중 금리인상이 우세하다. 올해 경기가 '상고하저'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기존 예상인 하반기보다는 여력이 있는 상반기에 인상한다는 관측이다. 아울러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3월과 6월에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아진 만큼 미국과 금리차가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현재 한국과 미국의 금리가 1.50%로 동일하다. 3월 연준이 금리를 올리면 한·미 금리 역전이 발생한다. 금리 역전이 되면 외국인 투자금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스럽다.

외환보유액이나 주요국과의 통화스와프 등 외환안전망이 충분한 만큼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오히려 경기 상황이나 물가에 더 중점을 둬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윤여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유럽을 보면 미국보다 기준금리 낮은 나라가 많다.
기준금리 역전이 꼭 외자유출 등 부작용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원화 고평가 구간이라는 인식이 있어서 미국과 금리 역전으로 환치개입 없이 환율을 안정시키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fnSurvey